태그 보관물: 정조

정조의 개혁 기법 속에 현대의 경영기법이 그대로 적용됨에 놀라움을 느꼈습니다.

최근 일이 너무 많아, 정조의 내용 정리를 2회차나 올리지 못했네요. 어제 강의 내용마저 정리를 못하면 저만 알고 묻혀버릴 것 같아 우선 이 내용을 먼저 정리합니다. 정조의 시대는 태조/태종의 창업시대 > 세종/성종의 수성시대를 겨처 영조의 대를 이어 경장更張의 정치를 벌여야만 했습니다. 경장이란 거문거의 줄을 고친다/조인다의 의미로 시대적 상황이 사회 전반에 걸친 시스템을 개혁해야하는 시대였습니다.  이를 위해 정조가 […]

계속 읽기

정조의 규장각과 경연을 통한 溫故知新 주체적 지식경영

박현모 교수님께서 진행하시는 정조이야기 제4강 수업 공유합니다. 이번 10월14일에 열린 대통령의 미국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문 중 <미국의 위대한 지도자 토마스 제퍼슨 대통령은 “한 사회의 궁극적인 권력의 원천은 바로 국민 자신”이라고 역설한 바 있습니다. 미국 사회에 깊게 뿌리내린 이러한 가치는 한국의 가치이기도 합니다. 한국에서 성군으로 존경받는 세종대왕은 약 600년 전 “백성이 하늘이고, 민심이 곧 천심이다. 하늘처럼 […]

계속 읽기

세종대왕 리더십의 국제적 비교와 한글의 미래가치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리더십연구소 주관 제3회 세종학국제학술회(대주제:세종대왕 리더십의 국제적 비교와 한글의 미래가치)를 참관하고 기록을 남깁니다.   한글의 탄생 智의 혁명 – 노마 히데끼 , 일본 국제교양대학 교수 제1회의 세종리더십 비교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순우 교수님 주관) 당태종과 세종대왕 – 고려대 김택민 교수 정조의 탕평 정치와 세종 – 단국대 김문식 교수 한국의 세계화와 세종의 재조명 : 토마스 재퍼슨을 중심으로 – […]

계속 읽기

정조 – 멈출(止) 수 있는 힘 / 중용의 철학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리더십연구소 주관  정조이야기 2강 내용 공유합니다. 정조의 3대 이미지가 “책, 종, 달”이고, 눈에 보이지 않는 철학적 이미지가 바로 그칠 지(止) 입니다. 이미 활쏘기 50발 중 49발을 명중해 놓고도 나머지 1발을 쏘지 않는 이야기로 유명하신데요. <홍재전서〉 제95권, 경사강의 32(書經). 정조는 장애가 생겼을 때 무시하고 밀고나가는 것(狂)과 장애를 무서워해서 아예 출발도 하지 않는 것(猜) 사이에 있는 […]

계속 읽기

정조의 리더쉽, 그 가슴 뛰는‘유소불위(有所不爲)’ 정신!

PM계의 대부이자 PMI한국챕터 회장님이신 박영민 대표님의 소개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리더쉽 연구소  박현모 교수님이 주관하시는 총 10강의 구성된 “정조이야기” 가을 학기의 첫 강의를 들었습니다. 1부 : “18세기 문예 부흥과 정조의 지적 리더쉽” (한국중앙연구원 정순우 교수님) 18세기는  주자학의 ‘성인’ 담론의 한계와 그 당시의 ‘나의 참다운 길’을 모색하던 변화 속에서 정조대왕의 북학파 이야기를 수렴하면서, 동시에 중화주의를 강화하는 정치적인 기량의 면모를 […]

계속 읽기

기획 및 연구자의 롤모델이 되는 다산 정약용 – 茶山 丁若鏞

정조 조선 개혁 프로젝트 리더쉽에 대해서 화성을 주제로 이야기를 하다 보면, 당시 설계자였던 다산 정약용 및  실학사상에 대한 연구를 하지 않을 수가 없게됩니다. 이에 대해 파면팔수록 정말 정약용 선생의 박학다식과 지혜에 감탄을 하게 됩니다.  우선 수원화성이 만들어지기 200년전에 임진왜란 (1592-1598)을 겪습니다. 이때 일본은 서구에서 들여온 조총/천리경 등 당시의 첨단 무기를 사용하였습니다. 조선은 피폐화 되었고, 이의 […]

계속 읽기

정조, 조선 개혁을 향한 프로젝트 리더쉽

S사 PM분들을 대상으로 “정조, 조선 개혁을 향한 프로젝트 리더쉽”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였습니다.  정조의 수원 화성은 200년전 조선의 프로젝트 관리 기법의 정수를 보여주는 소중한 문화 유적 자산입니다. 우리 선인의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관리 기법을 보여줍니다. 수원 화성은UNESCO 1997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화성은 조선 정조시대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년)>을 지침서를 정조의 승인을 받아 “어제성화주략”화되어 재상을 지낸 채제공의 […]

계속 읽기

수원 화성 답사 – 한국 프로젝트 지식 체계 모범 사례

PMI 이사인 Dr. William Moylan  박사/교수님을 모시고 한국 프로젝트의 진면목 사례인 수원 화성(1997년 UNESCO 등재)의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Dr. William Moylan 박사는 첫날 PMI한국챕터 창립총회, 둘째날 KSPM/프로젝트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일정을 소화하시고, 셋째날의 한국 프로젝트 문화유산 답사기 이십니다. 정조의 수원 화성은 프로젝트관리/경영 기법에서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과거 200년전의 수원 화성 건축 프로젝트 착수에서부터 종료까지의 모든 과정이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