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에서 포트폴리오까지 기업에서 필요한 사업관리 체계에 대해 글로벌 표준과 자격증 체계로 전세계의 PM의 판을 좌지우지하는 PMI 에서 PMO의 영향력에 관련된 보고서인 “The Impact of PMOs on Strategy Implementation”을 발간하였습니다. 크게 ▲ PMO가 회사에 미치는 영향력 , ▲ PMO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 ▲ PMO가 중점적으로 노력하는 방향 , ▲ PMO 유형별 중점 사항을 포함하여 PMO의 중요성/역할/기능/이행방법에 대한 실무적 가이드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성적으로는 PMO의 도입으로 회사의 전략적 가치를 현실화함에 있어서의 비중이 33%를 차지하고, PMO는 통합적 관리 방법으로 낭비를 줄이고 핵심에 집중하게하는 조정자 역할을 해준다고 합니다. 정량적으로는 평균 1조 규모 프로젝트에서 약 14%에 해당하는 1350억 정도를 PMO를 통하여 절약할 수 있으며, 다시 이야기하면 PMO도입 평균 1천억 규모 프로젝트 수행시 710억 정도의 규모로 가치증대 혹은 비용절감의 효과를 본다고 합니다.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2006년도 PMO도입기업이 61%였는데 반해, 6년여가 지난 2013기준으로는 70%가 PMO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성과가 낮은 기업보다 거의 2배에 육박하는 성과를 내고 있다고 합니다.
국내는 무작정 PMO를 프로세스적인 측면으로만 접근해서 이행하는 면이어서 반짝 하는 경향이 없지않아 있는데, 해외의 경우 PMO를 “회사의 전략 이행을 위한 기본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를 위해 프로세스 보다는 문화적 접근, 아울러 꾸준하고 지속적인 성과 측정, 프로젝트에 수방되는 교훈이나 RISK가 포함된 변경/변화의 내용을 지속적으로 지식관리 체계를 통해 공유하여 꾸준히 계승발전시킨다는 내용이 인상적입니다. 대부분 국내 회사는 이를 숨기고 공유를 안해, 실수를 반복하는 경향이 있죠.
PMO 역시도 자칫 게을러지거나 답보 상태가 안되도록하기위한 꾸준한 개선을 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프로젝트 오너, 이해관계자 및 고객으로 부터 꾸준한 피드백을 받아, 이를 평가하고 개선하는 방향을 많이 취한다고 합니다. 어찌보면 당연한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는 이해관계자를 만족시켜야하고, 프로그램과 포트폴리오로 올라갈 수록 사회(고객)와 회사(오너)의 갭을 맞추기 위한 Alignment에 대한 역할이 PMO 에게 있으니 말이죠.
PMBOK에서 PMO의 유형을 지원형, 통제형, 지시형 3가지로 구분하는데, 이 보고서에서는 지원형으로는 프로젝트지원/서비스PMP, 프로젝트 특화PMO, 통제형으로는 HR/역량관리형 PMO, 지시형으로는 조직단위 PMO 혹은 기업/전략 포트폴리오/글로벌 PMO 이렇게 총 5가지 유형으로 세분화 해 놓았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유형이 조직단위 PMO(55%), 프로젝트지원 PMO(44%)이며, 이 모두 프로젝트/프로그램의 조정관리 역할이이 거의 50%, 표준방법론 프로세스 정의/가이드가 20%, 포토폴리오 우선 순위 조정이 약 10%의 비율로 현실화하여 업무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 보고서를 읽고, 현재 프로젝트리서치가 PMO 컨설팅/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KT의 차세대IP컨택센터 프로젝트의 PMO와 부합을 해 보았습니다. 유형으로는 프로젝트 특화 PMO(차세대 프로그램 PMO)이고, 초기 표준,방법론,프로세스를 정의 후 이후에는 꾸준히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WBS를 도출하고, 이의 Baseline이 만들어진 이후에는 프로젝트 간의 조정 관리 업무를 Visual PMO라는 도구를 이용하여 정량적/정성적으로 관제한 경우네요.
대기업 공공기관 참여제한법 (일명:PMO법) 도입 이후 중견기업이 이 시장을 급속도로 파고들고 있는데, 감리 수준을 보다 높여 글로벌 표준에 대한 compliance 부분을 높이고, 이를 방법론 뿐만이 올바른 “프로젝트 수행문화”로 접근하는 것, 방법론과 실제 업무가 별개의 것이 아닌 문무일체라고 방법론과 실제업무가 Visual PMO같은 시스템을 통하여 하나되는 문화가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PMO의 R&R에 PMI 에서 제시하는 PMO의 역할 장표 추가하면서 마무리할까합니다. PMO는 단일 프로젝트(PMP)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PgMP), 포트폴리오(PfMP)를 포함하여 조직관리(OPM3)까지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봐야합니다. 이의 balance를 맞춘 시각을 가진 SME가 필요하며, 중요한 단기적 목표가 아닌 장기적인 회사의 프로젝트 수행 문화로 이끌어내야하는 전략을 구상해야합니다. 이에 대한 가이드가 필요한데, 제가 여지껏 본 PMO 가이드 문서 중에 가장 잘 정리된 가이드가 PMI에서 출시한 PMO 가이드북이지 않나 싶습니다. 이의 핵심을 요약 정리하면 아래표와 같이며, 총 5개 부분 24개 항목을 가지고 평가지표를 가지고 꾸준하게 관리한다면 우리도 해외 부럽지 않은 PMO 체계가 만들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한민국 프로젝트 수행 체계가 글로벌 수준으로 우뚝 서는 그날까지, 프로젝트리서치도 노력하겠습니다.!
PMO핵심기능 |
PMO세부기능 |
프로젝트 성과 감시 및 통제 |
경영진에게 프로젝트 상태 보고 |
프로젝트 성과 감시 및 통제 |
|
프로젝트 정보 시스템 구현 및 운영 |
|
프로젝트 스코어보드 개발 및 유지 |
|
PM 역량 및 방법론 개발 |
표준 방법론 개발 및 시행 |
조직내 프로젝트 관리 촉진 |
|
교육 등을 포함한 역량 강화 |
|
PM을 위한 멘토링 |
|
표준화된 도구 제공 |
|
멀티 프로젝트 관리 |
프로젝트 간의 조율 |
새로운 프로젝트 식별, 우선순위 및 선택 |
|
하나 이상의 포트폴리오 관리 |
|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관리 |
|
프로젝트 간의 자원 배정 |
|
전략 관리 |
고위 경영진에 대한 조언 |
전략 기획에 참여 |
|
이익 관리 |
|
네트워킹과 주위 환경에 대한 조사 |
|
조직 관리 |
PMO 성과 감시 및 통제 |
프로젝트 문서 보관 관리 |
|
종료 프로젝트 리뷰 실행 |
|
프로젝트 감사 실행 |
|
교훈 DB 실행 및 관리 |
|
리스크 DB 실행 및 관리 |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