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관물 | 4. Business Analysis 이 섹션의 RSS 피드

Agile, PM & BA 커리큘럼

프로젝트리서치의 Agile , PM , BA  주제로의 실무 및 자격증 과정 표준 커리큐럼 소개합니다.  기업의 Agile, PM/PL, BA 훈련 과정의 핵심은 실무 업무 경험 및 코칭/컨설턴트 경험을 바탕으로 해야 표준과 실제의 갭을 함께 동감하며 진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프로젝트리서치는 이러한 실무 지향형 실제 업무에 적용 목적으로 과정 설계가 이뤄졌으며, 삼성전자, LG전자를 포함한 많은 기업에서 검증되었습니다. […]

계속 읽기

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전세계 80만명의 PM/Project Management 회원을 거느리고 있는 PMI의 2017년도는 글로벌표준의 시즌2라고 할 수 있을 것 만큼 모든 핵심 표준(비즈니스 분석,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및 Agile/애자일)체계가 재수립되는 큰 변혁의 한 해였던 것 같습니다. 이에 프로젝트리서치에서는 각각의 표준에서 언급하고 있는 glossary 단어들이 얼마나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태그클라우드로 표현을 해 보았습니다. PMI 표준 특집 […]

계속 읽기

비즈니스분석 역량 모델 – Business Analysis Competency Model Wheel

전세계 BA 표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IIBA(International Institute of Business Analysis)에서 2015년 출시된 A Guide to the Business Analysis Body of Knowledge® (BABOK® Guide) v3  에 대응하는 비즈니스 분석 역량 모델 표준이 지난달(2017.05) 출시 되었습니다. 비즈니스 분석 역량 모델은 BABOK® (Business Analysis Body Of Knowledge) 지식 영역이 기초 역량과 기법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와 이를  5가지 수준으로 […]

계속 읽기

머신러닝(ML)의 간략한 역사

머신러닝(ML)의 간략한 역사가 깔끔히 정리된 글이 있어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1946 – 2017 우리가 머신러닝(ML)에 깊이 관여하기 전에, 우리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알아보기 전에 우리가 어디에 있었는지 알아야합니다. 다른 역사와 다르지 않은 것처럼 보일지라도, 흥망성쇄으 기로 앞 시점에서 현재의 인기가 과장된 선전인지 아니면 거대한 패러다임의 변화인지를 우리가 직접 결정하게 될 것입니다. 위키피디아 머신러닝(ML)의 타임 라인은 베이즈의 정리의 […]

계속 읽기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 학습 경로

머신러닝(ML), 인공지능(AI), Microsoft Cognitive Toolkit (CNTK) 엔지니어인 Ivan Farkas 의 AI 학습 경로에 대한 좋은 안내 글(AI Learning Path, May 27, 2017)이 있어 공유합니다. 데이터 과학자, 머신러닝(ML), 인공지능 엔지니어라면 필수적으로 알아야할 개념과 추천 과정들이 쉽게 설명되고 정리가 잘 되어있어 번역해 보았습니다. 순서 머리말 인공지능(AI)을 사용하는 이유 인공지능(AI)으로 진입해야하는 이유 지금이어야 하는 이유 학습 전략 세 가지 […]

계속 읽기

Data Scientist 데이터 과학자 소개

LinkedIn은 2017 년 최고의 기술 목록을 발표했습니다. 데이터 프리젠테이션이 처음으로 상위 10 위 안에 들었던 지난 해 이후, 통계 분석 및 데이터 마이닝 2개가 선정되었습니다. 이 두 가지 기술 범주는 2001 년 Purdue 대학교 통계학 교수 인 William S. Cleveland가 컴퓨터 과학 및 통계학의 합병을 주장했을 때 작성한 용어 인 데이터 과학의 제목 아래 기술 되어있었습니다. […]

계속 읽기

4차 산업혁명을 향한 프로젝트 관리 및 거버넌스 기법

기업에 맞는 실사구시 프로젝트관리 기법을 맞춤식 전파하겠다는 일념으로, 프로젝트리서치(주) 회사 운영한지 6년이 지났습니다. 운이 좋게도 여지껏 좋은 기업 및 꽤나 실력있는 실무자분들과 함께 할 수 있었던 것 같네요. 최근 프로젝트 수행하면서 느낀, 기업들이 처한 ICBM (IoT, Cloud, Big Data, Mobile) 환경이라든가, SE (System Engineering), SWE (SW Engineering), R&D 및 제조부문에서 공히 적용할 수 글로벌표준 기반의 […]

계속 읽기

비즈니스 분석은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핵심 관리 요소입니다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프로젝트가 산으로 간다”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초에 가야할 목적지를 정해놓지않고, 출발먼저 하다가 중감 점검을 하지 않은체 최종 위치만 확인하는 거죠. 이를 좀 더 표준 프로세스에 가깝게 분석을 해보면 크게 핵심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WBS로 매핑하여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소통해야하는데 그것을 못하는 거죠. 이때 소통은 대외용과 대내용이 있을텐데, 대외용은 철저하게 비즈니스용어, 즉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되어야하고, […]

계속 읽기

[세미나후기및자료] 올바른 SW개발 방법과 개발 도구로 제대로 일하는 문화 만들기!

프로젝트리서치(주) 법인 기념 세미나였던 “대한민국 개발자들이여.. 깨어나라! 올바른 SW 개발 방법과 개발 도구로 제대로 일하는 문화를 만들어보자!” 는 주제로 SRS 요구사항스펙정의서 작성기법(전규현 상무)과 SW공학 도구 체인(유승우 부사장)에 대해서 2일 세미나를 잘 치뤘습니다. 그날의 약속드린 자료와 +@에 자료를 더 챙겨서 본 후기 3.배포자료 다운로드를 통해 전달해 드립니다. 1. 실리콘밸리SW 회사들의 요구분석핵심 기법 2. SW개발 자동화 도구 아키텍처 […]

계속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