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PM협회 IPMA Adesh Jain 초청 강연 / 만찬 후기

한국프로젝트경영협회 주관으로 국제PM협회 IPMA의 Adesh Jain 의장을 모시고 “Future of PM in the Globe”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kpma.gif IPMA.png

우선 IPMA는 전세계에 국가별 PM협회를 주관하는 국제PM협회로 non-profit으로 스위스에 등록되어있고, 사무국이 네덜란드에 있는 협회이다. 현재 43개국 나라의 PM협회에서 IPMA를 대변하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Wikipedia에 IPMA이름으로의 설명이 없다.)

PMI의 PMBOK과 같이 기준이 되는 ICBv3를 가지고 있고, PMI의 PMP자격증 처럼 IPMA도 IPMA-A, IPMA-B, IPMA-C, IPMA-D의 4단계 자격증 제도(참고로 PMP는 IPMA-C정도에 해당한다고한다) 가 있고 약 57,000명의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이 유럽전역에서 활동을 하고 있고, IPMA 자격증의 북미를 제외한 국가에서의 자격 가치를 많이 강조하였다. (PMP 자격증 보유자는  27만명이다.)

CIPM-Process.png

8개 영역에 29개 지식분야 및 85개 분야를 설명하고 있는 브로셔.

본 초청강연을 듣고 Project Management 기법/체계성은 앞으로도 매우 중요한 필수 산업 요소로 자리매김할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미 PMI에서의 PMP의 Project Managemt를 넘어 Program과 Portfolio까티 cover하는 PgMP자격을증 내놓앟고, 관련 산업에서도 조직,이익까지 건드리는 해당 분야의 지식체계도 나오기 시작하였다.)

몇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다음 사항을 Q&A받았다.

1) 산업별 지식체계/프로세스가 있는지? > (답변) 아직없다. 1-2년내에 관련 프로세스를 착수할 계획이다.

2) ISO등과 같은 국제표준화에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 (답변) 1-2명이 국제표준화 활동을 하고 있다.

3) 자격증 체계는 개인단위인지 회사단위인지? > (답변) 아직까지는 개인단위이나, 내년에 조직/회사 단위로 확대하려하고 있다.

행사를 주관하고, 몇분 안되는 자리에 초청해주신 한국프로젝트경영협회에 감사드리고,

좋은 내용으로 유럽지역의 Trend를 소개해주신 Adesh Jain의장님께도 감사드립니다.

20080415-DSC08303

20080415-DSC08205

20080415-DSC08301

20080415-DSC08297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