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 v5 한글로 쉽게 보는 방법 소개

기업에서 적용할 Enterprise Agile 에서 가장 혼돈없이 적용하기 위한 Best Framework는 SAFe v5 입니다. SAFe v5 프레임워크는 이미 인터넷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누구나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어들이 낯설어 이해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SAFe v5 한글로 쉽게 보는 방법 및 용어해설 공유합니다.  단지 용어적 정의가 낯설다면 아래 용어집을 참고하시고 익히시면 좀 더 쉽게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공유합니다.

UntitledImage

활용방법

1. 본 프레임워크 고해상도 다운로드 : 클릭

2. [한글] 구글번역기의 도움으로 scaledagileframework.com 을 실시간 한글 번역, 각 단어 클릭하면 한글 설명 페이지 안내

3. [영어]  https://www.scaledagileframework.com 에 접속하여 각 단어 클릭하면 설명 페이지로 안내 됨 ; 이때 아래 단어설명집 사용

Abbreviations / 약어집 

Glossary / 용어집 

Screenshot 2020 02 18 00 27 29

상기 2번의 방법으로 SAFe v5 탐색

Abbreviations / 약어집

  • ART – Agile Release Train
  • BO – Business Owner
  • BV – Business Value
  • BVIR – Big Visual Information Radiator
  • CapEx – Capital Expenses
  • CD – Continuous Delivery
  • CE – Continuous Exploration
  • CI – Continuous Integration
  • CFD – Cumulative Flow Diagram
  • CoD – Cost of Delay
  • CoP – Community of Practice
  • DoD – Definition of Done
  • DSU – Daily Stand-up
  • EA – Enterprise Architect
  • EO – Epic Owner
  • FW – Firmware
  • HW – Hardware
  • I&A – Inspect and Adapt
  • IP – Innovation and Planning (iteration)
  • KPI – Key Performance Indicator
  • LPM – Lean Portfolio Management
  • MBSE – 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
  • MMF – Minimum Marketable Feature
  • MVP – Minimum Viable Product
  • NFR – Nonfunctional Requirements
  • OE – Opportunity Enablement
  • OpEx – Operating Expenses
  • PDCA – Plan, Do, Check, Adjust
  • PI – Program Increment
  • PM – Product Management
  • PO/PM – Product Owner/Product Manager
  • PO – Product Owner
  • ROAM – Resolved, Owned, Accepted, Mitigated
  • RR – Risk Reduction
  • RTE – Release Train Engineer
  • S4T – SAFe® for Teams
  • SAFe® – Scaled Agile Framework
  • SA – SAFe® Agilist
  • SBD – Set-Based Design
  • SM – Scrum Master
  • SMART –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 Realistic, Time-bound
  • SoS – Scrum of Scrums
  • SP – SAFe® Practitioner
  • SPC – SAFe® Program Consultant
  • STE – Solution Train Engineer Software
  • UX – User Experience
  • VS – Value Stream
  • VSE – Value Stream Engineer
  • WIP – Work in Process
  • WSJF – Weighted Shortest Job First
  • XP – Extreme Programming

Glossary / 용어집

  • Agile Release Train (ART) – Agile Release Train (ART)이란 장기간 지속되는 Agile team으로서 다른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가치 흐름 내에서 하나 이상의 솔루션을 점진적으로 개발, 제공, 운영(해당되는 경우)합니다.
  • Agile Team – SAFe에서 Agile Team은 5-11명의 개인으로 구성된 교차 기능 그룹으로서 단기간 내에 가치 증가를 정의, 구축, 테스트 및 전달합니다.
  • Architectural Runway – Architectural Runway는 과도한 재설계 및 지연없이 단기 기능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기존 코드, 구성 요소 및 기술 인프라로 구성됩니다.
  • Built-In Quality – Built-In Quality 관리 방식은 각 솔루션 요소가 매 증분마다 개발 전반에 걸쳐 적절한 품질 표준을 충족하도록 보장합니다.
  • Business Owners – Business Owners는 Agile Release Train(ART)이 개발한 솔루션의 거버넌스, compliance 및 투자수익률(ROI)에 대한 주요 비즈니스 및 기술적 책임이 있는 소규모의 이해관계자 그룹입니다. 이는 사용 적합성을 평가하고 특정 ART 이벤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ART의 주요 이해관계자입니다.
  • Capabilities – Capabilities는 일반적으로 여러 ART에 걸쳐 있는 높은 레벨의 솔루션 행위입니다. Capabilities는 단일 PI 내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크기를 조정하고 여러 기능으로 분할합니다.
  • Communities of Practice (CoPs) – Communities of Practice (CoPs)는 특정 기술 또는 비즈니스 분야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로 이루어진 그룹입니다. 이들은 정기적으로 협력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기술을 향상시키며, 해당 분야의 일반적인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합니다.
  • Compliance – Compliance란 팀이 Lean-Agile 개발 방식을 적용하여 가능한 최고 품질의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동시에 모든 규제, 산업, 기타 관련 요건을 충족하도록 하는 전략 및 일련의 활동과 아티팩트를 의미합니다.
  • Continuous Delivery Pipeline – The Continuous Delivery Pipeline (CDP)은 아이디어화에서 온디맨드 출시에 이르기까지 최종 사용자에게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워크플로우, 활동 및 자동화를 의미합니다.
  • Continuous Deployment (CD) – Continuous Deployment (CD)는 준비 환경에서 검증된 기능을 가져와 출시가 준비된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하는 프로세스입니다.
  • Continuous Exploration (CE) – Continuous Exploration (CE)은 혁신을 추진하고 시장과 고객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이러한 요구를 해결하는 솔루션의 비전, 로드맵, 기능 세트를 정의하여 구축해야 할 사항에 대한 조정을 촉진하는 프로세스입니다.
  • Continuous Integration (CI) – Continuous Integration (CI)은 프로그램 백로그에서 기능을 가져와 배포와 출시 준비가 된 준비 환경에서 기능을 개발, 테스트, 통합 및 검증하는 프로세스입니다.
  • Core Values – 정렬, 내장 품질(built-in quality), 투명성, 프로그램 실행의 네 가지 Core Values는 SAFe의 효율성에 핵심적인 기본 신념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지침 원칙은 SAFe 포트폴리오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의 행동과 조치를 지시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DevOps – DevOps는 사고방식, 문화, 그리고 일련의 기술적 관행입니다. DevOps는 솔루션을 계획, 개발, 테스트, 구축, 출시 및 유지관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사람 간의 커뮤니케이션, 통합, 자동화 그리고 긴밀한 협력을 제공합니다.
  • Enablers – Enabler는 향후 비즈니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Architectural Runway를 확대하는 데 필요한 활동을 지원합니다. 여기에는 탐색, 아키텍처, 인프라 및 compliance가 포함됩니다. Enablers는 다양한 백로그에서 캡처되며 프레임워크 전체에서 발생합니다.
  • Enterprise – Enterprise는 각 SAFe 포트폴리오가 속한 기업체를 의미합니다.
  • Enterprise Solution Delivery – Enterprise Solution Delivery 역량은 세계 최대 규모의 정교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가상 물리 시스템의 사양, 개발, 배포, 운영 및 진화에 Lean- Agile 원칙과 관행을 적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Epic Owners – Epic Owners는 Portfolio Kanban 시스템을 통해 포트폴리오 Epics를 조정할 책임이 있습니다. Epic Owners는 Epic, Epic의 Minimum Viable Product (MVP) 및 Lean 비즈니스 사례를 서로 협력하여 정의하고, 승인된 경우 구현을 촉진합니다.
  • Epics – Epic은 포트폴리오 내에서 발생하는 더욱 실질적인 투자를 포착하는 중요한 솔루션 개발 이니셔티브의 컨테이너입니다. Epics는 상당한 범위와 영향 때문에 구현하기 전에 Minimum Viable Product (MVP)의 정의와 Lean Portfolio Management (LPM)의 승인을 필요로 합니다.
  • Essential SAFe – Essential SAFe는 Agile Team의 팀으로서 Agile Release Train (ART)을 통해 비즈니스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역할, 이벤트, 아티팩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Features – Feature는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서비스입니다. 각 Feature에는 이익 가설 및 수락 기준이 포함되며, 필요에 따라 크기가 조정되거나 분할되어 Program Increment (PI)의 단일 Agile Release Train (ART)에 의해 전달됩니다.
  • Foundation – Foundation에는 규모를 고려하여 가치를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데 필요한 지원 원칙, 가치, 사고방식, 구현 지침, 리더십 역할이 포함됩니다.
  • Full SAFe – Full SAFe는 비즈니스 민첩성에 필요한 일곱 가지 핵심 역량을 포함하는 가장 포괄적인 구성입니다.
  • Innovation and Planning Iteration – The Innovation and Planning (IP) Iteration은 매 Program Increment (PI)마다 발생하며 다양한 목적을 수행합니다. 이는 PI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추정 버퍼 역할을 하며 혁신, 지속적인 교육, PI Planning, Inspect and Adapt (I&A) 이벤트를 위해 전념할 시간을 제공합니다.
  • Inspect & Adapt (I&A) – Inspect and Adapt (I&A)는 각 Program Increment (PI)의 끝에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이벤트로, Train에 의해 현재 솔루션의 상태가 시연되고 평가됩니다. 그런 다음 팀은 구조화된 문제 해결 워크숍을 통해 개선 백로그 아이템을 항목을 반영하고 식별합니다.
  • Iteration – Iteration은 Agile 개발의 기본 구성 요소입니다. 각 Iteration은 표준 고정 길이의 타임박스로서 Agile Team은 작업, 테스트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의 형태로 증분 가치를 전달합니다. 타임박스의 권장 기간은 2주입니다. 그러나 비즈니스의 전후 사정에 따라 1주에서 4주도 허용됩니다.
  • Iteration Execution – Iteration Execution은 Agile Team이 반복 타임박스 전체에 걸쳐 작업을 관리하는 방식으로서 품질이 높고 제대로 작동하는, 테스트가 완료된 시스템의 증가를 초래합니다.
  • Iteration Goals – Iteration Goals는 Agile Team이 Iteration을 통해 달성하기로 합의한 비즈니스 및 기술적 목표를 대략적으로 요약한 것입니다. 이는 Agile Release Train (ART)을 자율 조직 및 자율 관리 팀으로 조직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Iteration Planning – Iteration Planning이란 모든 팀원이 예정된 Iteration 중에 얼마나 많은 팀 백로그를 전달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이벤트입니다. 팀은 작업을 전념할 일련의 Iteration Goals로 요약합니다.
  • Iteration Retrospective – Iteration Retrospective는 Agile Team 구성원들이 Iteration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자신들의 관행을 검토하고, 개선할 방법을 식별하는 정기적인 회의입니다.
  • Iteration Review – Iteration Review는 케이던스 기반의 이벤트로서 각 팀은 모든 Iteration이 끝날 때마다 증가분을 검사하여 진행 상황을 평가한 후 다음 Iteration에 대한 백로그를 조정합니다.
  • Large Solution SAFe – Large Solution SAFe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가상 물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추가 역할, 관행 및 지침을 설명합니다.
  • Lean Budget Guardrails – Lean Budget Guardrails는 특정 포트폴리오의 예산, 지출 및 거버넌스에 대한 정책과 관행을 설명합니다.
  • Lean Budgets – Lean Budgets는 오버헤드와 마찰을 훨씬 적게 하여 투자에 대한 효과적인 재무 거버넌스를 제공하며, 훨씬 높은 개발 작업 처리량을 지원합니다.
  • Lean Enterprise – Lean Enterprise는 비즈니스 민첩성을 보여주는 번성하는 디지털 시대의 조직으로서, 지속 가능한 최단 조달 기간에 혁신적인 시스템과 솔루션을 고객에게 제공하여 시장의 변화와 새로운 기회에 신속하게 대응합니다.
  • Lean Portfolio Management – The Lean Portfolio Management 역량은 전략 및 투자 자금, Agile 포트폴리오 운용 및 거버넌스에 Lean과 시스템 사고 접근법을 적용하여 전략 및 실행을 조정합니다.
  • Lean User Experience (Lean UX) – Lean User Experience (Lean UX) 디자인은 Lean-Agile 방식을 수용하는 사고방식, 문화, 프로세스입니다. 가능한 최소한의 증분으로 기능을 구현하고 이익 가설에 대한 결과를 측정하여 성공을 결정합니다.
  • Lean-Agile Leadership – Lean-Agile Leadership 역량에는 Lean-Agile Leaders가 어떻게 개인과 팀이 최고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조직의 변화와 운영의 우수성을 추구하고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 Lean-Agile Mindset – Lean-Agile Mindset은 Agile Manifesto와 Lean thinking의 개념을 수용하는 SAFe 리더와 실무자들의 믿음, 가정, 태도, 행동의 조합입니다. 이는 SAFe의 원칙과 관행을 채택하고 적용하기 위한 개인적이고 지적인 리더십의 토대입니다.
  • Lean-Agile Principles – SAFe는 Lean-Agile의 열 가지 변하지 않는 기본 원칙에 기초합니다. 이러한 신조와 경제 개념은 SAFe의 역할과 관행에 영감을 주고 정보를 제공합니다.
  • Metrics – Metrics는 조직이 포트폴리오, 대규모 솔루션, 프로그램, 팀의 비즈니스 및 기술 목표를 얼마나 잘 추진하고 있는지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합의된 측정 척도입니다.
  • Milestones – Milestones는 특정 목표 또는 이벤트에 대한 진행 상황을 추적하는 데 사용됩니다. SAFe Milestones의 유형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Program Increment (PI), 고정 날짜, 학습 Milestones. \
  • 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 (MBSE) – Model-Based Systems Engineering (MBSE)은 개발 중인 시스템을 정의, 설계, 문서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일련의 관련 시스템 모델 개발 관행입니다. 이러한 모델은 전통적인 서류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줄이거나 없애는 동시에 이해관계자들이 시스템 측면을 탐색하고, 업데이트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 Nonfunctional Requirements (NFRs) – Nonfunctional Requirements (NFRs)는 보안, 신뢰성, 성능, 유지관리성, 확장성, 유용성 등의 시스템 속성을 정의합니다. 이는 서로 다른 백로그 전반에 걸쳐 시스템 설계에 대한 제약이나 제한 사항으로 작용합니다.
  • PI Objectives – Program Increment (PI) Objectives는 예정된 Program Increment (PI)에서 Agile Team 또는 Train이 달성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목표와 기술적 목표를 요약한 것입니다.
  • Portfolio Backlog – Portfolio Backlog는 SAFe의 최상위 백로그입니다. 이는 일련의 포괄적인 솔루션을 만들고 발전시키려는 향후 비즈니스와 Enabler Epics를 위한 보관 공간을 제공합니다.
  • Portfolio Kanban – Portfolio Kanban 시스템은 아이디어화에서 분석, 구현, 완료에 이르기까지 포트폴리오 Epics의 흐름을 시각화하고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 Portfolio SAFe – Portfolio SAFe는 전략을 실행에 맞추어 조정하고 하나 이상의 가치 흐름을 통해 가치 흐름을 중심으로 솔루션이 개발되도록 정리합니다.
  • Portfolio Vision – Portfolio Vision은 포트폴리오의 가치 흐름과 솔루션의 추후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서 포트폴리오의 목표와 기업의 광범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협력할 것인지 설명합니다.
  • Pre-and Post-PI Planning – Pre– and Post–Program Increment (PI) Planning 이벤트는 Solution Train 내의 Agile Release Trains (ARTs)와 Suppliers를 위한 PI Planning을 준비하고 후속 조치를 취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Product Management – Product Management는 제품 시장 수명 주기 전체에 걸쳐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 주는 바람직하고, 달성 가능하고, 실행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제품의 구축을 정의하고 지원할 책임이 있습니다.
  • Product Owner (PO) – Product Owner (PO)는 팀의 Features나 구성 요소의 개념적이고 기술적인 무결성을 유지하면서 프로그램 우선 순위의 실행을 간소화하기 위해 Stories를 정의하고 Team Backlog를 우선 순위를 지정할 책임이 있는 Agile Team의 구성원입니다.
  • Program Backlog – Program Backlog는 사용자의 니즈를 해결하고 단일한 Agile Release Train (ART)에 대한 비즈니스 이점을 제공하기 위해 예정된 Features를 보관할 공간입니다. 여기에는 Architectural Runway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Enabler Features도 담겨 있습니다.
  • Program Increment (PI) – Program Increment (PI)는 Agile Release Train (ART)이 제대로 작동하며 테스트된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의 형태로 점진적인 가치를 전달하는 타임박스입니다. PI의 기간은 보통 8–12주입니다. PI의 가장 일반적인 패턴은 네 가지 개발 Iterations에 뒤이은 하나의 Innovation and Planning (IP) Iteration입니다.
  • Program Increment (PI) Planning – Program Increment (PI) Planning은 Agile Release Train(ART)에 있는 모든 팀이 공유 미션과 비전에 맞춰 조정되도록 하는 케이던스 기반의 대면 이벤트로서 ART의 심장 박동 역할을 합니다.
  • Program Kanban – Program and Solution Kanban 시스템은 Continuous Delivery Pipeline을 통해 아이디어화에서 분석, 구현, 출시로 이어지는 Features와 Capabilities의 흐름을 시각화하고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 Release Train Engineer (RTE) – Release Train Engineer (RTE)는 Agile Release Train (ART)의 서번트 리더이자 코치입니다. RTE의 주요 책임은 ART 이벤트 및 프로세스를 촉진하고 팀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RTE는 이해관계자들과 의사소통하고, 장애를 상급자에게 보고하고, 리스크 관리를 지원하고,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합니다.
  • Release on Demand – Release on Demand는 새로운 기능을 프로덕션에 배치하고 수요에 따라 즉시 또는 점진적으로 고객에게 출시하는 프로세스입니다.
  • Roadmap – Roadmap은 계획된 Solution 결과물을 계획된 기간 동안 전달하는 이벤트 및 Milestones의 일정입니다.
  • SAFe Implementation Roadmap – SAFe Implementation Roadmap은 SAFe를 성공적으로 구현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된 전략 및 일련의 활동을 설명하는 개요 그래픽과 12개 조항 시리즈로 구성됩니다.
  • SAFe Program Consultants (SPCs) -Certified SAFe® Program Consultants (SPCs)는 SAFe에 대한 기술적 지식과 회사의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를 개선하기 위한 내재적 동기를 결합한 변화의 주도자입니다. 이들은 SAFe를 성공적으로 구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PCs는 비즈니스 및 기술 리더, 포트폴리오/프로그램/프로젝트 관리자, 프로세스 리드, 설계자, 애널리스트, 컨설턴트 등을 포함하여 수많은 내부 또는 외부 역할로부터 나옵니다.
  • SAFe for Government – SAFe for Government는 공공 부문 조직이 Lean-Agile 관행을 정부의 맥락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련의 성공 패턴입니다.
  • SAFe for Lean Enterprises – SAFe® for Lean Enterprises는 Lean, Agile, DevOps를 규모에 따라 구현하여 비즈니스 민첩성을 달성하기 위한 검증된 통합 원칙, 관행 및 역량의 지식 기반입니다.
  • Scrum Master – Scrum Master는 Agile Team의 서번트 리더 및 코치입니다. 이들은 Scrum, Extreme Programming (XP), Kanban, SAFe에서 팀을 교육하고 합의된 Agile 프로세스가 준수되도록 보장합니다. 이들은 또한 장애 요소를 제거하고 높은 성과를 내는 팀 역학, 지속적인 흐름, 끊임없는 개선을 위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 ScrumXP – ScrumXP는 SAFe 내의 교차 기능적인 자율 조직 팀에 가치를 전달하는 가벼운 프로세스입니다. 이는 Scrum 프로젝트 관리 관행과 Extreme Programming (XP) 관행의 힘을 결합합니다.
  • Set-Based Design (SBD) – Set-Based Design (SBD)은 개발 프로세스에서 요건과 설계 옵션을 최대한 유연하게 유지하는 관행입니다. Set-Based Design (SBD)은 단일 포인트 솔루션을 미리 선택하는 대신 여러 가지 옵션을 식별하고 동시에 탐색하여 시간을 두고 더 열악한 선택을 제거합니다. 이는 가정의 유효성을 검증한 후에만 기술 솔루션을 적용하기 때문에 설계 프로세스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더 나은 경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합니다.
  • Shared Services – Shared Services는 Agile Release Train (ART) 또는 Solution Train의 성공에 필요하지만 전담은 불가한 전문적 역할, 인력, 서비스를 대표합니다.
  • Solution – 각 Value Stream은 기업 내부 또는 외부에서 고객에게 제공되는 제품, 서비스, 시스템인 하나 이상의 솔루션을 생성합니다.
  • Solution Architect/Engineer – Solution Architect/Engineering은 개발중인 시스템 또는 솔루션이 의도한 목적에 적합하도록 Solution Train에서 공유된 기술 및 아키텍처 비전을 정의하고 전달할 책임이 있습니다.
  • Solution Backlog – Solution Backlog는 예정된 Capabilities 및 Enablers를 위한 보관 공간으로서 각각은 여러 개의 ART에 걸쳐 있을 수 있으며 솔루션을 발전시키고 Architectural Runway를 구축하기 위한 것입니다.
  • Solution Context – Solution Context는 솔루션 운영 환경의 중요한 측면을 식별합니다. 이는 솔루션 자체의 요건, 사용, 설치, 운영, 지원에 대한 필수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Solution Context는 온디맨드 출시를 위한 기회와 제약에 크게 영향을 끼칩니다.
  • Solution Demo – Solution Demo는 Solution Train의 개발 노력 결과를 통합하고 평가하여 고객 및 다른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는 곳입니다.
  • Solution Intent – Solution Intent는 현재 솔루션 및 의도된 솔루션 행동에 대한 지식을 저장, 관리 및 전달하기 위한 저장소입니다. 필요한 경우 고정 사양과 가변 사양 및 설계와 적용 가능한 표준, 시스템 모델, 기능 테스트 및 비기능 테스트에 대한 참조, 그리고 추적 가능성이 포함됩니다.
  • Solution Management – Solution Management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켜 주는 바람직하고, 달성 가능하고, 실행 가능하며, 지속 가능한 대규모 비즈니스 솔루션의 구축을 정의하고 지원할 책임이 있습니다.
  • Solution Train – Solution Train은 Suppliers의 기여뿐만 아니라 다수의 Agile Release Trains (ARTs)의 조정을 필요로 하는 크고 복잡한 솔루션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는 조직 구조입니다. 이는 Vision, Backlog, Roadmap, 조정된 Program Increment (PI)를 사용하여 ART를 공유된 비즈니스 및 기술 미션과 맞춥니다.
  • Solution Train Engineer (STE) – Solution Train Engineer (STE)는 Solution Train의 서번트 리더이자 코치로서 Value Stream 내의 모든 ARTs 및 Suppliers의 작업을 촉진하고 안내합니다.
  • Spanning Palette – Spanning Palette에는 특정 팀, 프로그램, 대형 솔루션 및 포트폴리오 맥락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역할과 아티팩트가 포함됩니다.
  • Stories – Stories는 원하는 기능의 작은 부분에 대한 간략한 설명으로서 사용자의 언어로 쓰여집니다. Agile Team은 시스템 기능의 소규모 수직 슬라이스를 구현하고 단일 Iteration 내에서 완료할 수 있도록 크기를 조정합니다.
  • Strategic Themes – Strategic Themes는 포트폴리오를 Enterprise의 전략과 연결하는 차별화된 비즈니스 목표입니다. 이는 포트폴리오 전략에 영향을 주고 포트폴리오 의사 결정을 위한 비즈니스 맥락을 제공합니다.
  • Supplier – Supplier는 Solution Trains 및 Agile Release Trains가 자신들의 고객들에게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구성 요소, 하위 시스템 또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전달하는 내부 또는 외부 조직입니다.
  • System Architect/Engineer – System Architect/Engineering은 개발 중인 시스템 또는 솔루션이 의도한 목적에 맞도록 보장하기 위해 Agile Release Train (ART)에 대한 공유된 기술 및 아키텍처 비전을 정의하고 전달할 책임이 있습니다.
  • System Demo – System Demo는 Agile Release Train (ART) 내의 모든 팀이 전달한 최근의 Iteration에 대한 새로운 Features를 통합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각 데모는 ART 이해관계자들에게 Program Increment (PI) 동안의 진행 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척도를 제공합니다.
  • System Team – System Team은 일반적으로 Continuous Delivery Pipeline을 지원하는 툴체인의 개발 및 유지보수를 포함하여 Agile 개발 환경을 구축하고 지원하는 전문적인 Agile Team입니다. System Team은 Agile 팀의 자산 통합을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종단간(end-to-end) 솔루션 테스트를 수행하며 배포 및 Release on Demand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 Team Backlog – Team Backlog에는 Program Backlog에서 시작된 사용자 및 Enabler Stories와 팀의 지역적 맥락에서 발생한 스토리가 포함됩니다. 여기에는 팀이 시스템의 일부를 발전시키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모든 것을 대표하는 다른 작업 항목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Team Kanban – Team Kanban은 팀이 워크플로우를 시각화하고, Work In Process (WIP)의 한계를 설정하고, 처리량을 측정하고,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가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입니다.
  • Value Stream Coordination – Value Stream Coordination은 의존성을 관리하고 Value Streams 사이의 상호 연결에만 존재하는 기회를 활용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 Value Streams – Value Streams는 조직이 고객에게 지속적인 가치 흐름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단계를 의미합니다.
  • Vision – Vision은 개발 중인 솔루션의 미래 상태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는 고객 및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그러한 니즈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 제안된 Feature 및 Capabilities를 반영합니다.
  • Weighted Shortest Job First (WSJF) – Weighted Shortest Job First (WSJF)는 가장 큰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작업(예: Features, Capabilities, Epics)의 순서를 정하는 데 사용되는 우선 순위 모델입니다. SAFe에서 WSJF는 Cost of Delay (CoD)를 작업 크기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