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I 표준 (BA, PMBOK, Agile, Program, Portfolio)에 대한 핵심

전세계 80만명의 PM/Project Management 회원을 거느리고 있는 PMI의 2017년도는 글로벌표준의 시즌2라고 할 수 있을 것 만큼 모든 핵심 표준(비즈니스 분석, 프로젝트, 프로그램, 포트폴리오 및 Agile/애자일)체계가 재수립되는 큰 변혁의 한 해였던 것 같습니다. 이에 프로젝트리서치에서는 각각의 표준에서 언급하고 있는 glossary 단어들이 얼마나 본문에서 사용되고 있는지를 데이터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태그클라우드로 표현을 해 보았습니다.

PMI 표준 특집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PMI WrodCloud 1 overview

프로젝트 관리의 라이프사이클에 해당하는 비즈니스 분석 (Vision, Strategy, Requirements, Solution) 이후의 포트폴리오 관리 > 프로그램 관리 > 프로젝트 관리의 연계 체계 및 Agile & Agility에 대한 상호 보완에 대한 모든 표준이 2017년도에 갱신되었으며, 이는 향후 2022년도 까지의 Digital Transformation을 대비할 수 있는 표준 체계라고 감히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아래 5개의 핵심 표준에 대한 중요한 키워드를 분석하여 공유합니다.

  1. The PMI Guide to Business Analysis – First Edition
  2. PMBOK® Guide – Sixth Edition
  3. Agile Practice Guide
  4.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 Fourth Edition
  5. The Standard for Portfolio Management – Fourth Edition

1. The PMI Guide to Business Analysis – First Edition

PMI WrodCloud 2 Business Analysis

PMI의 비즈니스 분석 표준은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의 도출/Elicitation 을 기반으로 해결책/Solution을 Project, Product, Process 관점으로 구분하여 이해관계자/Stakeholder에게 가치/Value를 제공하기 위한 변화/Change를 제시합니다.

2. PMBOK® Guide – Sixth Edition

PMI WrodCloud 3 PMBOK

PMI의 프로젝트 관리 표준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기대치/Expectation을 충족시키기 위해 10개의 관점(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자원, 리스크, 조달, 이해관계자)에 대해 베이스라인/Baseline 및 성과/Performance에 대한 차이가 최소화 하기 노력합니다. 이를 위해서 꾸준히 마일스톤/단계Milestone&Phase에 성공적으로 도달하기 위해 네트워크/Lead/Lag 연관도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Crashing / Fast Tracking 기법으로 일정단축 및  관리가 가능한 예측/Estimation이 되도록 노력하며, 혹시라도 발생하는 변경/Change에 대해서 철저하게 통제/Control 하기 위한 기법이라는 것이 바로 태그클라우드에서 표현되고 있습니다.

3. Agile Practice Guide

PMI WrodCloud 4 AGILE Practice Guide

PMI의 Agile 표준에서는 프로젝트/Project와 제품/Product를 구분하여 변화 무쌍한 환경을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서 가치/Value 기반하에 목표/Goal에 출시/Release를 반복/Iteration적으로 하기 위해 Scrum, Kanban, Retrospective을  집단지성/Collective 및 자기주도적으로 전력질주/Sprint의 노력이며, 이 긴장도/tension이 유지되도록 속도/Velocity의 지속적인 관리 기법이라는 것을 이야기 해주고 있습니다.

4.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 Fourth Edition

PMI WrodCloud 5 Program Management

PMI의 프로그램 관리 표준은 이해관계자/Stakeholder의 편익/Benefit을 지속적/Sustainment으로 인도/Delivery하기 위한 로드맵/일정/리스크/품질의 성과를 프로젝트/프로그램 거버넌스를 목적으로하는 총체적인 관리 기법이라고 요약될 수 있습니다.

5. The Standard for Portfolio Management – Fourth Edition

PMI WrodCloud 6 Portfolio Management

PMI의 포트폴리오 관리 표준은 조직이 추구해야할 비전/Vision, 가치/Value, 전략/Strategy, 목적/Ojbectives 및 목표/Goal를 달성하기 위한 콤포넌트(프로그램 및 프로젝트)의 연계/Alignment 체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는 도메인/Domain 별로 Capacity와 Capability를 고려한 균형/Balnce있는 성과/Performance 를 관리하여 이해관계자/Stakeholder와 지속적인 소통을 바탕으로 하여 리스크/Risk를 최소화하면서 조직의 자산/Asset까지도 남길 수 있는 관리 체계라고 요약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PMI 표준 체계가 자격증이 목표가 아닌, 자격증을 토대로한 올바른 비즈니스 분석 > 포트폴리오/프로그램/프로젝트 및 애자일 관리 체계가 실사구시 실무/Best Practice화 되어서 많은 기업들이 글로벌 수준의 관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을 바라며 분석/리서치를 마무리 합니다.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