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6일 새롭게 출시된 PMBOK 6판을 기준으로 단어 분석을 해 보았습니다.
용어집/Glossary 기준으로 5판에서 사용된 빈도대비 6판에서 사용된 빈도 중 증가 회수가 가장 높은 TOP 25개를 나열해 봅니다.
PMI 표준 특집
* 본 특집은 PMI PMBOK 6판, PMI BA 1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본 문서의 목차
- PMBOK6판 빈도율 증가 단어
- PMBOK6판 빈도율 증가 단어 목록
- 증가된 단어의 의미
▲ PMBOK6판 빈도율 증가 단어

▲ PMBOK6판 빈도율 증가 단어 목록
Num | Glossary | Frequency of PMBOK 5th | Frequency of PMBOK 6th | Frequency Increments |
1 | Risk | 994 | 1509 | 515 |
2 | Process | 1715 | 2134 | 419 |
3 | Project | 7106 | 7370 | 264 |
4 | Data | 413 | 668 | 255 |
5 | Log | 66 | 293 | 227 |
6 | Change | 500 | 724 | 224 |
7 | Stakeholder | 451 | 658 | 207 |
8 | Information | 631 | 814 | 183 |
9 | Result | 140 | 311 | 171 |
10 | Baseline | 259 | 416 | 157 |
11 | Assumption | 6 | 143 | 137 |
12 | Monitor | 71 | 195 | 124 |
13 | Resource | 457 | 580 | 123 |
14 | Schedule | 889 | 995 | 106 |
15 | Quality | 648 | 749 | 101 |
16 | Issue | 66 | 159 | 93 |
17 | Tailoring | 8 | 88 | 80 |
18 | Product | 296 | 368 | 72 |
19 | Charter | 147 | 210 | 63 |
20 | Program | 129 | 177 | 48 |
21 | Portfolio | 84 | 127 | 43 |
22 | Practice | 36 | 79 | 43 |
23 | Opportunity | 13 | 52 | 39 |
24 | Agreements | 67 | 103 | 36 |
25 | Milestone | 45 | 77 | 32 |
▲ 증가된 단어의 의미
1. Risk 관련
5판과 대두되는 부분이 Risk 가 (1) Overall Risk 과 Individual Risk 로 구분되었으며, (2) 리스크 대응 방안 역시 위협리스크와 및 기회리스크 모두 기존 4개에서 에스컬레이션 방법이 추가되어 각각 5개씩 되었다는 점, 아울러 리스크 통제가 리스크대응 실행 및 리스크 감시로 분리됨에 따른 지침서의 내용이 보강되면서 가장 높은 빈도율로 Risk 단어 사용이 높아졌습니다.
2. 프로젝트 실행 Data/Log / Information
프로젝트 관리 기법에 생애주기 종류에 예측정, 반복(Iteration)형, 점진형, 애자일형(적응형) 이 추가됨으로 과거 프로젝트에 비해 Data 및 Log의 중요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언급이 많아졌습니다. Information/정보 역시도 Agile 형과 같은 변화를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위한 척도로서 이러한 로그/정보에 대한 사용 빈도가 높아졌습니다.
3. Baseline
6판에서는 범위계획, 일정계획, 원가계획 각각의 산출물을 “Baseline/기준선”을 이라는 단어로 사용했습니다. 이제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verification & validation이 확인된 Baseline 이라는 단어를 원래의 의도대로 올바르게 많이 사용했으면 좋겠습니다. PMBOK에서는 Scope baseline, Schedule baseline, Cost baseline 및 Performance measurement baseline 의 핵심 산출물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4. Portfolio – Program – Project – Product : Tailoring & Practice
6판에서는 프로젝트/프로그램/포트폴리오 생애주기의 연계성과, 각각의 조직 환경에 맞추어 재단/Tailoring 기법을 적용하여 맞춤형으로 활용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올해 출시된 Program Mgmt 및 Portfolio Mgmt 아울러 출시된 Agile / Adaptive Lifecycle 과의 정합성을 맞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여집니다. Product는 PMI Business Analysis Standard와의 정합성을 맞추기 위한 요소로, 아울러 Practice는 PMI의 여러 표준 실무/실무사례들과의 보완성을 맞추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 됩니다.
- Agile Practice Guide
- Business Analysis
- Governance of Portfolio_Program_Project
- Implementing 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 Managing change in Organizations
- Navigating Complexity
- Requirements Management
5. Resource
기존의 Human Resource가 물리적 자원이 포함되면서 지식영역 이름 자체가 Resource 관리로 바뀌었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이 추가되면서 단어 빈도 사용이 높아진 것 같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