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60만명의 PM의 지식체계 PMBOK 및 PMP 자격증의 핵심 추진체인 PMI (Project Management Institute) 기관은 올해 2017년은 “PMI Season 2”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관련 신규 표준들이 출시됩니다.
PMI 표준 특집
신규 지식체계로 BA (The PMI Guide to Business Analysis – 1st) 표준과 Agile 실무가이드(New Practice Guide on Agile – 1st ) 와 거버넌스 1판(Governance of Portfolios, Programs, and Projects – 1st) 이 만들어지고, 주요 개정판으로 PMBOK 6판, Program 관리 4판(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 4th) , Portfolio 관리 4판(The Standard for Portfolio Management – 4th) , 조직프로젝트관리 OPM 4판(The Standard for 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OPM) – 4th) , 개인역량개발프레임워크 3판(Project Manager Competency Development Framework – 3rd) 으로 갱신되는 주요한 한 해 입니다. 이로써 각 체계 사이의 Alignment가 완벽히 구조가 촘촘히 구성되는 거죠.
이중 2017 Q3 (7-9월) 중 출시될 ‘PMBOK 6판’의 주요 변경사항에 대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구성
- 주요 변경사항
- 프로세스 주요 변경 사항
- 지식체계 주요 변경 사항
- 소감/의견
1. 주요 추가 사항
이번 개편의 주요 추가 항목은 ▲Agile, ▲지식관리, ▲Talent Triangle ™ (역량삼각형) 부분입니다.
1.1 Agile
Agile의 언급은 예측형, 반복적, 점증적 및 적응형 라이프사이클 중의 하나로 주요 설명을 하고, 자세한 내용은 PMBOK 4장-13장까지 각각의 지식 영영역서 Agile로 조정(Tailoring)에 대한 항목으로 언급이 되고, 부록 3장 부분에서는 착수 > 기획 > 실행 > 통제 > 종료의 흐름대로 바로봐야하는 항목에 대해 언급이 되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올해 출간될 “New Practice Guide on Agile” 에서 확인을 해야하고요. 주요한 언급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잡하게 얽힌 적응적 문제들(complex adaptive problems)
- 스크럼 (Scrum)
- 경험주의(empiricism)
- 반복적(iterative)
- 점진적인(incremental)
- 투명성(transparency)
- 검토(inspection)
- 적응(adaptation)
- 자기 조직화 (self-organizing)
- 유연성(flexibility)
- 창의성 (creativity)
- 생산성(productivity)
- 증분을 지속적으로 추가하여 제품을 배포 (incremental deliveries)
- 제품 책임자 (Product Owner)
- 개발팀 (The Development Team)
- 스크럼 마스터 (The Scrum Maste)
- 도와주는 리더(servant-leader)
- 경험적인 환경(empirical environment)
- 스프린트 (The Sprint)
- 스프린트 계획 (Sprint Planning)
- 일일 스크럼 (Daily Scrum)
- 스프린트 리뷰 (Sprint Review)
- 스프린트 회고 미팅 (Sprint Retrospective)
- 제품 백로그 (Product Backlog )
- 스프린트 백로그 (Sprint Backlog)
- 스프린트 진행 모니터링 (Monitoring Sprint Progress)
- 제품 증분 (Increment)
- 산출물 투명성 (Artifact Transparency)
- “완료”의 정의 (Definition of “Done” )
- 정보방열판 (information radiators)
- 반복(iteration)
1.2 지식 관리
지식 관리는 “Lessons Learned Register/교훈관리대장” output에 대해 프로젝트 종료 단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중간 단계에서도 갱신해야한다는 개념으로 프로젝트 통합 관리에 추가되었습니다. 이는 Agile의 회고 미팅 (Retrospective) 과의 호환성과도 연계 됩니다.
1.3 Talent Triangle™ (역량삼각형)
PMI에서 PM의 균형있는 지식/경험체계를 강조하기 위한 Talent Triangle™ /역량삼각형이 PMBOK의 3장에 자세히 언급 되었습니다.
이미 PM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회원이라면 PDU 갱신체계가 이미 2년전부터 Strategic, Leadership, Technical 부분으로 나누어서 관리를 하고 있어서 익숙할것이고, 역량삼각형에서 다루고 있는 각각의 항목들에 대한 설명이 서술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2. 프로세스 주요 변경 사항
프로세스는 기존 PMBOK 5판 47개 기준으로 3개 추가, 1개 삭제, 10개 이동/조정으로 총 49개 입니다. PMBOK 프로세스 기준으로 전체 30% 정도가 보완/변경/가감 된거죠.
프로세스 가감 사항
– 프로젝트지식 관리(4.4 단원) – 추가. – 활동자원 산정(6.4 단원) – 프로젝트 자원관리로 이동. – 자원통제(9.6 단원) – 추가. – 조달종료(12.4 단원) – 제거. – 품질보증 수행(8.2 단원) – 품질관리로 변경.
프로세스 변경 사항 – 품질보증 수행(8.2 단원) – 품질관리로 변경. – 인적자원관리 계획수립(9.1 단원) – 자원관리 계획수립으로 변경. – 프로젝트팀 확보(9.2 단원) – 자원 확보로 변경. – 프로젝트팀 개발(9.3 단원) – 팀개발로 변경. – 프로젝트팀 관리(9.4 단원) – 팀관리로 변경. – 의사소통 통제(10.3 단원) – 의사소통 감시로 변경. – 리스크통제(11.6 단원) – 리스크 감시로 변경. – 이해관계자관리 계획수립(13.2 단원) – 이해관계자참여 계획수립으로 변경. – 이해관계자참여 통제(13.4 단원) – 이해관계자참여 감시로 변경.
3. 지식체계 주요 사항
주요구성
– 각 지식체계별 핵심 개념, 추세 및 새로운 실무사례, 조정/테일러링 고려사항으로 구성 포맷 변경 – PMBOK 5판 피드백, ISO21500, PM/PMI 연구결과 적용 – PMI Lexicon 호환성 – 부록에 테일러링에 대해 지식영역별 조정/테일러링 체크리스트 추가
CH1 머리말 – 개발방식(예측형, 반복적, 점증적 및 적응형) 선택
CH2 프로젝트 운영 환경 – 거버넌스, 관리 요소 및 조직 구조 유형에 대한 내용이 새로 추가
CH3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 – 팀에 대한 프로젝트 관리자의 역할을 개괄적으로 기술 – 리더십 스타일과 개성 – PMI의 역량 삼각형(Talent Triangle) 강조
CH4. 프로젝트 통합관리 – 프로젝트지식 관리 프로세스가 새로 추가 – 산출물은 교훈 관리대장으로, 마지막 반영 단계까지 기다리기보다는 프로젝트 전체에서 지속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필요성을 강조
CH5. 프로젝트 범위관리 – 비즈니스 분석 표준과의 (The Standard for Business Analysis)와의 협력을 통해 두 기능 표준 간 적절한 조율을 도모해야 함 강조
CH6. 프로젝트 일정관리 – 프로젝트 시간관리에서 프로젝트 일정관리로 변경 – 일부 애자일 개념이 일정개발 프로세스에 통합 – 활동자원 산정 프로세스가 이 지식 영역에서 프로젝트 자원관리로 이동
CH7 프로젝트 원가관리 – Earned schedule theory 개념 추가 ( Agile에서의 Task의 수로 확인을 하는 Burndown과의 호환성 고려) – SPI = ES / AT , earned schedule (ES), actual time (AT)
CH8 프로젝트 품질관리 – 이전에 식별된 기법이 오늘날 프로젝트에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전문분야는 품질관리 계획서를 통한 품질 관리에 보다 주력. – 따라서 품질보증 수행 프로세스의 중점사항 변화와 함께 “품질 관리”로 변경
CH9 프로젝트 자원관리 – 이전 인적자원 중심에서 모든 자원을 포함하도록 확장 – 팀자원, 물적 자원의 용어 구분 – 팀개발과 팀관리에서 “프로젝트”라는 단어가 제거
CH10 프로젝트 의사소통 관리 – “의사소통(communication)”은 회의 참여, 정보 제공, 적극적 청취와 같은 의사소통 행위 – “의사소통 수단(communications)”은 메모, 프리젠테이션, 이메일과 같은 의사소통 도구 – 의사소통 통제 프로세스가 의사소통 감시로 변경(의사소통 방법과 시기를 통제할 수는 없음)
CH11 프로젝트 리스크관리 – 포괄적 프로젝트 리스크에 대한 강조 확대가 리스크관리 프로세스 전체에 통합 – 리스크대응 실행 프로세스가 새로 추가 – 리스크대응을 위한 계획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실행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 – 프로젝트 목표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리스크가 발견될 때 조직 내 관련 담당자 또는 부서로 전달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새로운 리스크 대응 방법으로 “보고”가 도입 – 리스크 통제 프로세스 이름이 리스크 감시로 변경
CH12 프로젝트 조달관리 – 글로벌적인 관점을 반영하여 업데이트 – 일반적으로 해당 권한은 계약, 조달 또는 법률 부서 담당자에게 있기 때문에, 조달종료 정보가 조달통제에 흡수 – 관리, 의사소통 및 기록에 대한 정보가 프로젝트 또는 단계 종료로 이동
CH13 프로젝트 이해관계자관리 – 현재 연구 및 실무사례에 따라 이해관계자 관리보다는 이해관계자 참여로 초점이 이동 – PM에게는 대부분 이해관계자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므로 이해관계자참여 통제가 이해관계자참여 감시로 변경
4. 소감/의견
이번에는 영문과 전세계 10개 언어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독일,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포르투칼, 아랍)가 동시에 출간됩니다. 이 역시 PMI에서 무척이나 신경을 많이 쓴 부분입니다. 과거에는 영어가 먼저 나오고 6개월 전후에 각 언어들이 출간 되었거든요. 표준 갱신 프로세스 역시 Agility 하게 변하고 있다는 것을 많이 느꼈습니다.
본문 내용에서도 PMI 리서치/논문 내용들이 반영되어 적용/설명된다는 점과, 너무 PMBOK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Lexicon/Program/Portfolio/BA/OPM3 표준과 Governance/Agile 실무가이드와의 연계성을 맞출려고 하는점, 아울러 PMBOK을 기준으로 조정(테일러링) 체크리스트를 제공한다는 점도 이번 6판에서의 Interesting 부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Volunteer 과의 조율을 통한 표준과 자격체계에 대한 완성본을 ANSI 및 글로벌 표준으로 이끌어 가는 PMI의 힘도 여실히 느낄 수 있었습니다.
PMI 표준 특집* 본 특집은 PMBOK 6판 영문판에 등재된 기념(Taeyoung Kim, PMP) 으로 몇가지 핵심 사항을 포스트 합니다.
한 번 들여다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좀 더 관심있게 내용을 확인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역쉬!! ^^ … 항상 새롭고 유용한 정보에 감사 드립니다. 다시 PM 교육을 받아야 하나여?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