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I 에서 PMBOK 6판의 윤곽에 대한 draft를 공표하고, 3.7-4.6 까지 한달동안 PMI 회원으로 부터 의견 수렴을 받고 있습니다. 전체 내용에 대한 Open이라기 보다는 전체적인 윤곽 및 프로세스 input / output에 대한 내용 Review에 대한 수준입니다. 지식체계에 대해서는 통합,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자원, 소통, 리스크, 조달, 이해관계자 까지 10개 지식 영역은 Time > Schedule, Human Resource > Resource로 명칭이 바뀌는 것 말고는 가감이 없습니다. 큰 변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PMBOK® Guide—Sixth Edition (Q1 2017)
- Agile을 포함한 Iterative 방법론들이 4-13장까지 본문과 Appendix에 포함
- Strategy 와 Knowledge 영역이 추가 ( PMI Talent Triangle 설명 추가 )
1. Agile 관련
Agile및 Iterative 에 대한 언급들은 본 Draft 에서는 깊숙히 확인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었습니다. 전체적인 Process 대비 Input/Output에 대한 가이드설명이었고요. 잠깐 언급된 Iterative & Knowledge 차원의 설명맵 부분은 의미가 있어 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에 올려드렸던 Agile의 내용들이 많이 들어가서, 6판으로 기존 Waterfall 기준 뿐만 아니라 Iterative 방식의 PM 업무 자체도 PMI 표준으로 확산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여지껏 PMI-ACP ( PMI Agile Certified Professional) 자격증만 있지, PMP 자격증 체계 중 유일하게 Agile 표준이 없는 상태에서 도서 추천만 했지, PMBOK 6판 자체가 PMI-ACP 의 기준 표준 도서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Agile PM/PMO 참고]
- 1. Agile 핵심 – Agile은 인본주의 협업 문화 입니다.
- 2. Agile 체크리스트 – 애자일을 올바르게 적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가진단 Kit
- 3. Agile 가치 관리 – 무엇을 먼저해야 의미가 있을까?
- 4. Agile 역할과 책임 – 업무에 책임지고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
- 5. Agile 지식체계 – 목적에 적합한 방법론 및 프레임워크를 맞춤식으로 도입하여 꾸준한 개선을 하는 것이 올바른 방식입니다.
- 6. Agile 도구와 기법 – 처해진 환경에 적합한 연장을 올바르게 사용 하기
- 7. Agile 10 실천 흐름 – 글로벌 표준 흐름으로 프로젝트의 경장 유지
- 8. Agile PMO 핵심 – Enterprise Agile도 PMO 관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 9. Agile PMO 체크리스트 – 향후 10년 Enterprise Agile 도약을 위한 반석 체계
- 10. Agile PMO 모델 비교 – 전체적인 거버넌스 체계 안목이 있어야 올바른 관리 체계 이행이 가능합니다.
2. Strategy / Knowledge 영역 (PMI Talent Triangle 포함)
프로젝트 관리에서 전략 > 베이스라인 > 경험/지식의 흐름을 무시할 수 없는데, 이의 상관관계가 드디어 PMBOK에 언급 되었습니다. 아울러 이러한 PM 연관 표준체계까지 이번에 쭉 alignment 를 하고 있어 보여, 늦은감이 없지않지만 PM의 trends에 따라 standard lead 역할은 착실히 수행하는 것 같습니다. PMBOK® Guide—Sixth Edition (Q1 2017),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 Fourth Edition (Q2 2017), The Standard for Portfolio Management – Fourth Edition (Q3 2017) 에 맞춰 전체적인 프로젝트>프로그램>포트폴리오에 대한 관리 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고, 프로제트 앞단에 해당하는 Business Analysis Foundational Standard – 1st edition 부분은 Q4 2017에, 조직관리에 해당하는 Standard for Organizational Project Management (OPM)는 Q2 2017에 출시되는 로드맵으로 진행을 하고 있습니다. PM의 역량관리 모델인 Project Manager Competency Development Framework Third Ed. (Q2 2016) 및 기존 3판과의 호환성만 있었던 건설관련 확장판은 Construction Extension to the PMBOK® Guide (Q2 2016) 으로 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PMBOK 6th edition과의 호환성이 모호해 지는 해프닝도 발생해지겠네요. (참조)
PMI 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PMI Talent Triangle 은 다음 사항을 포함하고 있고, 이를 위한 PDU 체계도 2015.12월 부로 이미 변경된 상태 입니다.
[PMI Talent Trangle]
Strategic & Business Management
- Benefits management and realization
- Business acumen
- Business model and structure
- Competitive analysis
- Custom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 Industry knowledge and standards
- Legal and regulatory compliance
- Market awareness and conditions
- Operational functions
- Strategic planning, analysis, alignment
Technical Management
- Agile practice
- Data gathering and modelling
- Earned value management
- Governance (project, program, portfolio, product)
- Performance management (project, program, portfolio)
- Requirements management and traceability
- Risk management
- Schedule management
- Scope management (project, program, portfolio, product)
- Time, budget, and cost estimation
Leadership
- Brainstorming
- Coaching and mentoring
- Conflict management
- Emotional Intelligence
- Influencing
- Interpersonal skills
- Negotiation
- Problem Solving
- Team Building
프로젝트/프로그램/포트폴리오 글로벌 표준 호환성 관련으로 ISO PC236 which developed ISO 21500을 마치고 ISO/TC 258 Project, Programme, and Portfolio Management 참여로 들어간 것 역시도 의미가 있어 보입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ISO 21500 과 PMBOK 5판은 100% synchro 율을 보였었거든요. 아울러 SW 영역과의 호환성을 위해 ISO/IEC JTC1/SC7, Software and Systems Engineering 부분과 RISK 표준 정합성 혹은 표준화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ISO PC262, Risk Management에 대한 참여도 흥미로운 관심거리네요. (참조)
이를 통해서 전체 BA 의 영역 (전략과 지식)을 포함하면서 Agile / Iterative의 민첩성에 대한 Trends를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저도 PMI 회원으로써 Baseline, Stakholder, Requirements, WBS, Knowledge 및 Retrospective 몇몇 의견을 개진했습니다. 4.7일까지 공개이니 PMI 회원이시라면 2020년까지 유지될 PMBOK의 변화를 훑어 보시는 것도 의미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항상 최신의 뉴스를 프로젝트 리서치에서 먼저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김정수 대표님.. 항상 열정적으로 생과 업을 함께 하시는 모습에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이번 Agile 주제로의 박사 논문도 상당히 관심가는 주제고요. 자주 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