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ile특집] 연재를 마치며..

필자가 현업에서 프로젝트를 수행 혹은 애자일 제안을 한다하면 필히 듣는 이야기가 “우리 회사는 폭포수 모델이 적합하지, 애자일은 적합하지 않습니다”라는 말이었습니다. 이런 말씀을 하시는 분 중에 많은 분들이 애자일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서 색 안경을 끼시고 과거의 익숙한 방식을 고수하시는 거죠.  어찌보면 복면가왕 프로그램 처럼 “편견”이다라는 것을 인식 시키는 과정이 상당히 오래 걸린 것 같습니다.

 

아울러 다들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고 계신 것에 대해서 나름의 기준/표준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애자일 사상을 온전히 이해하고, 글로벌 표준으로 중무장을 해야지, 올바른 관점과 적정한 시점에 프로젝트 의사소통/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간 4년간의 Visual PM (Agile PM) 워크샵을 1500시간 이상 수행하면서, 그동안 PMI-ACP 및 PRINCE2 Agile 체계가 출시되면서, 이제는 Project Management 관점에서 또한 Project Governance 관점에서의 기준 해설서가 있어야겠다는 신념으로 본 연재가 시작되었고, 무사히도 마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물론 본 연재에서 제시한 것 역시 또 다른 Agile 아류로 분류되겠지만, 가급적 Global 표준을 가지고만 이야기 함으로써 객관성을 가지고 설명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Agile-NewImage.png

 

1. Agile 핵심

애자일의 다른 방법론과의 차이점은 Process 이외에 Human driven 방식이라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Agile의 시초가 되는 Manifesto/선언문을 바탕으로, (프로세스가 언급되지 않은) 12가지 Principles/원칙을 올바르게 이해해야 진정한 인본주의 접근 기법이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죠.

 

2. Agile 체크리스트

진정으로 Agile을 잘 활용하고 있는 기업은, 검수조건과 회고 아울러 지속적인 개선에 대한 문화가 있습니다. Agile은 일종의 일하는 협업 문화를 개혁 운동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를 잘 지키고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PRINCE2 Agile 기준으로 또 한편으로 PMI-ACP 기준으로 객관적인 점검표/Checklist를 제시하였습니다.

 

3. Agile 가치 관리

Agile은 단지 프로젝트의 성공/실패로 판단을 하는 것이 아닌, 그 이상의 Value/가치 기반으로 장기적 안목을 가지고 수행하는 것입니다. 초기에 Value/가치가 공유가 되어야, 프로젝트 팀원들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준이 수립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 Agile 역할과 책임

프로젝트(혹은 제품) 구성원들에 대해 각각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기준이 있어야 합니다. 축구경기에 감독(Product Owner),선수(Teams),코치/심판(Scrum Master/PMO), 관중(Stakeholder)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듯이 프로젝트 구성원 역시 이들간의 Role & Responsibility 가 명확해야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혼선이 없기 때문입니다.

 

5. Agile 지식 체계

다양한 갈래/전문성을 가진 기법을 나열하여 모든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냐, 아니면 ICT/R&D에 특화시킬 수 있는 것이느냐를 구분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보통 Agile을 ICT driven 으로만 생각하고 계신 분들이 많아서 올바른 분류/가이드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6. Agile 도구와 기법

PMI-ACP 기준으로 실제 Tools & Technique 에 대해 glossary 수준으로 10대 분야별 사용 용어를 구분하여 설명을 함으로써, 명료한 의사소통이 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7. Agile 10 실천 흐름

제가 Agile PM 워크샵 때 이행하는 ISO-21500 / PMBOK의 프로세스에 대해 93% 커버하는 흐름도를 예시를 바탕으로 설명하였습니다. 중요하지 않은 것 처럼 보일 수 있어도, 이 10 실천흐름을 바탕으로 6시간 동안 실습 함으로써, 애자일을 올바르게 프로젝트 관리 차원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8. Agile PMO 핵심

비록 Agile PMO의 글로벌 표준은 아직 수립되지 않았지만, 많은 가이드들이 이야기하고 있는 프로젝트 < 프로그램 < 포트폴리오 및 조직관리 차원의 연관관계와 이를 전사적으로 “꾸준한 개선/Kaizen”을 바탕으로한 철학을 가지고 장기적으로 꾸준히 점진적 적용 및 개선을 해야하는 당위성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9. Agile PMO 체크리스트

Agile PMO 가 조직적으로 갖춰야할 항목을 1) 프로젝트 성과 감시 및 통제, 2) PM역량 및 방법론 개발, 3) 멀티프로젝트 관리, 4) 전략/가치 관리, 5) 조직 관리 차원에서 갖춰야할 기본 지식/프레임워크 체계를 언급함으로써, 조직적으로 프로젝트 거버넌스 할 수 있는 체계/체크리스트를 가이드 하였습니다.

 

10. Agile PMO 모델 비교

PMI , AXELOS 및 Agile 전문가 진영에서 이야기하는 PMO에 대한 각각의 차이점 및 Depth/깊이를 언급드림으로써, 명확한 기준을 가지고 Agile PMO에 대해 올바른 시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였습니다.

 

 

어찌보면 얼마 안되는 짧은 글 일 수 있어도, 이를 정리하기 위해 투자했던 시간들과, 아울러 1500시간 이상 수행했던 Agile PM/PMO 워크샵의 피드백, 아울러 글로벌PM/PMO 기준으로 기업들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의 노하우들을 녹여서 정리한 것이니 만큼, 나름 의미있는 정리/가이드리라 믿어 의심치 않으며, 보다 많은 기업들이 올바른 Agile 기법을 통해 Agility를 확보 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본 연재를 끝까지 마칠 수 있게 아낌없는 격려/지원을 해주신 하이테크정보 김영실 대표님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3개의 답글 to “[Agile특집] 연재를 마치며..”

  1. 잘 읽고갑니다.

  2. 김태영 대표님, 좋은 정보를 잘 정리해 놓으셨네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트랙백/핑백

  1. 2020년을 위한 PMBOK 의 주요 변화 – Agile, Strategy, Leadership | Project Research - 3월 20, 2016

    […] 설명맵 부분은 의미가 있어 보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번에 올려드렸던 Agile의 내용들이 많이 들어가서, 6판으로 기존 Waterfall 기준 뿐만 아니라 Iterative 방식의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