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분석은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핵심 관리 요소입니다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프로젝트가 산으로 간다”는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최초에 가야할 목적지를 정해놓지않고, 출발먼저 하다가 중감 점검을 하지 않은체 최종 위치만 확인하는 거죠. 이를 좀 더 표준 프로세스에 가깝게 분석을 해보면 크게 핵심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WBS로 매핑하여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소통해야하는데 그것을 못하는 거죠. 이때 소통은 대외용과 대내용이 있을텐데, 대외용은 철저하게 비즈니스용어, 즉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이야기가 되어야하고, 대내용은 철저하게 WBS를 기준으로만 이야기 되어야 합니다. 그래야지 혼돈이 없어지죠.

저희 프로젝트리서치가 제안하는 방법은 1) Global Standard를 바탕으로 올바르게 일해야 한다. 2) Visualization을 바탕으로 투명하게 일해야 한다. 3) Focus 철저히 업무에만 집중해서 최대의 효과를 도출해야 한다입니다. 어찌보면 이번에 500억 규모의 13개 수행사 갑을병정이 모여서 20개의 프로젝트/프로덕트로 구성되어 1년간 추진된  KT 차세대 IPCC 프로젝트가 일정지연 없이 성공적으로 끝낸 것도 근간 PMIS인 Visual PMO가 여기에 철학을 두었기 때문입니다.

프로젝트 관리는 글로벌 표준에 입각하여 PMBOK 혹은 ISO21500 기법으로 회사에 맞게 테일러링하면 문제가 없을 것이고, Visualization은 저희가 제공하는 Hybrid Agile 방식의 Visual PM/PMO 기법을 이용하면 될텐데, 문제는 앞단입니다. 즉 비즈니스의 요구사항을 프로젝트의 스펙(WBS포함)으로 명확히 레벨다운 하는 기법이 필요한데, 이러한 비즈니스 분석 역량에 대한 검증을 PMI에서 PMI-PBA (Professional Business Analysis)라는 자격으로 인증체계를 출시하였습니다.

Pmi pba 001

PMI에서는 프로젝트를 투명하게 관리하도록하는 글로벌표준 체계를 개발하였습니다. 프로젝트 > 프로그램 > 포트폴리오 및 조직관리에 이르는 수직체계와 리스크, 일정, EVM기성(원가), 역량, WBS 등 많은 표준가이드를 개발하였습니다. 어찌보면 담당자는 이들 가이드 표준만 마스터링하고, 자신의 조직에 맞게 테일러링하면 되죠. 아주 합리적이고 투명하게요.

Pmi pba 002

이의 접근 방식은 조직적으로 개인적으로 쌍끌이로 접근해야 합니다. 예전에 6Sigma 가 6시그마 회사 인증에 대해 그린벨트, 블랙벨트제도를 개인역량에 맞추어 확산 것과 같이요. 그래야 개인적으로도 동기부여가 되니까요. PMI 의 대표적인 PMP 자격증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자격증도 이런 맥락입니다. 전세계적으로 PMP 자격증 보유자가 그렇지 않은 동료보다 평균 15% 임금이 높다는 통계가 이를 보완해주고 있죠. (아쉽게도 국내엔 자격증 수당이라는 제도가 있는데, 여러이유로 바람직하지 않은 모습 같습니다.)

좀 특화된 자격증 체계가 일정 관리 전문가 PMI-SP (Schedule Professional), 리스크 관리에 특화된 RMI-RMP (Risk Management Professional), 스크럼/애자일에 특화된 PMI-ACP (Agile Certified Professioal)외에 이번에 PMI에서 비즈니스 분석/설계 기법에 특화된 PMI-PBA (Professional Business Analysis) 자격증을 내 놓으면서, 가이드서를 낸 것이 있는데, 여기에는 비즈니스 분석가가 갖춰야할 단계별 역량에 대한 정의가 잘 되어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1단계 : 필요 정의  >  2단계: 기획  >  3단계 : 분석 > 4단계 : 추적 및 모니터링 > 5단계 : 평가의 순으로 이뤄지는데, 각 단계별 체크리스트/필요지식 가이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Pmi pba 003

단계#1. 필요 정의 

  1. 솔루션 범위 정의 혹은 비즈니스 케이스 작성을 위한 입력물을 제공하기 위한 문제와 기회 분석 기법을 사용한 비즈니스 문제 혹은 기회 정의
  2. 가치 부여에 기여하기 위한 평가 도구 및 기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소스로부터 정보의 수집 및 분석
  3. 조직의 목표와 목적에 맞는 제품을 배치하기 위해, 비즈니스 니즈 및 솔루션 범위를 명확하게 정의는 프로젝트의 목표과 목적 개발을 위한 협업
  4. 대표화된 정보화 도출을 위해 적합한 단체 참여 선정을 하기위한 목표와 목적, 요구사항을 리뷰를 위한 이해관계자 식별
  5. 요구사항의 우선순위에 기반한 베이스라인을 수립하여,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제품에 적용하기 위한 절차

Pmi pba 004

단계#2. 기획 

  1. 비즈니스 분석 활동 정의를 위한 비즈니스 정의, 프로젝트 목표, 목적에 대한 리뷰 이행
  2. 요구사항의 모니터 및 검증 추적을 위한 도구와 기법이 포함된 요구추적 전략 수립
  3. 인도물 기대치가 포함된 로드맵 수립을 위해 이해관계자 식별, 역할과 책임, 소통절차, 도출기법, 분석, 문서화, 관리 및 요구승인 절차가 포함된 요구사항 관리 계획서 수립
  4. 부적절한 사항의 변경을 위한 표준 절차 수립을 위해 소통요청 채널 식별에 의한 요구 변경 관리 기법 선정 및 변경 처리  프로세스
  5. 요구추적 및 형상관리 표준 수립을 위해 문서화 관리 도구 및 기법을 이용한 문서 관리 기법 선정
  6.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솔루션인지, 이해관계자와 협업하여 사업매트릭스와 인수조건을 정의

Pmi pba 005

단계#3. 분석 

  1. 자세한 요구사항 도출을 위해 개인/그룹 선출기법을 이용하여 요구사항 도출/식별
  2. 제품의 옵션과 성능을 식별하고 명확하게 기술하기 위해 의존분석, 인터페이스 분석 및 데이터/프로세스 모델링을 포함한 요구사항 분석, 분할과 도출
  3. 요구사항 수용, 연기 및 거절을 결정하기 위해 의사결정 및 측정 기법을 사용한 제품의 옵션과 성능을 평가
  4. 요구사항 베이스라인 수립을 위한 우선순위, 의존분석, 의사결정 도구와 기법을 이용하여 범위, 일정, 원가와 자원제약간의 밸런스를 맞추어 요구사항의 수용/전가를 조정
  5. 이해관계자 협조와 승인 촉진하기 위해 의사결정 기법을 활용하여 요구사항 베이스라인을 공식 인가 받음
  6. 적절한 개발 실행과 측정을 위한 요구사항을 소통하기 위해 Use Case, User Story 등과 같은 데이터, 인터페이스 상세 내용을 요구사항 스펙으로 작성
  7. 요구사항의 완결성, 목표, 목적 그리고 가치를 제공하는지 확신을 주기위해 문서 리뷰, 프로토타입, 데모와 같이 요구사항 검증 도구 및 기법 사용
  8. 솔루션이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스펙 상세 매트릭스 및 인수조건을 명확시키며 구체화함

Pmi pba 006

단계#4. 추적 및 모니터링 

  1. 요구사항이 제대로 인도되었는지 확신하기 위한 요구사항의 상태, 소스와 의존관계를 요구사항추적매트릭스 도구와 기법으로 추적
  2. 요구사항의 구체화, 문서화 및 시험절차와 같은 구체화가 각 라이프사이클 과정마다 수행되고, 리뷰되고, 승인되는 절차가 전체 라이프사이클 동안 모니터링 되어야 함
  3. 요구사항이 종료되는 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라이프사이클 전체기간 동안 적정한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되고 변경 사항의 추적 과정이 제대로 갱신
  4. 요구사항에 관련된 이슈와 충돌, 리스크와 일반적 상황이 제대로 관리되기 위해 PM과 요구사항을 의사소통하고, 다른 이해관계자와 의사소통을 올바로 이행
  5. 요구사항과 적용이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요구사항 베이스라인에 기반하여 변경 관리진행을 영향분석, 독립성, 영향력 변경을 올바로 추적

Pmi pba 007

단계#5. 평가 

  1. 솔루션이 요구사항을 만족하는지 결정하기 위한 요인수조건에 대한 검수 결과, 보고서 작성
  2. 솔루션 범위, 요구사항 및 개발된 솔루션의 갭이 없다는 확신을 주기위해 차이분석 및 품즐보증의 검증 수행
  3. 적용절차 수립을 위해 의사결정 기법에 기반한 이해관계자 승인 획득
  4. 비즈니스 케이스와 가치 평가에 대해 측정 및 적용 방안 실행

비즈니스 분석가가 Master 해야하는 가이드서가 11권이 있는데. 저도 이중 몇 권을 가지고 있는데요. Software Req 부분이 있어서 ICT 특화된 거라 보실 수 있는데, 그것 보다는 보이지않는영역 (소프트웨어,프로세스)를 구조화하고 명세화하는 가시적인 도구와 기법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Pmi pba 008

기존의 IIBA와의 차이점은 IIBA 및 BABOK에서 제시하는 기법은 오로지 Business 분석에만 Focus를 둔다면, PMI에서 요구하는 방식은 비즈니스 요구를 명세화한 후 어떻게 이를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추적하고 관리할 것인지까지 확대된 보다 실용적인 방법을 요구하지 않나 싶습니다.

Pmi pba 009

한국 프로젝트 환경은 여지껏 프로젝트 관리에 Focus화 된 경우가 없지 않고,  1만여 PMP 자격증 보유자가 있는 작지 않은 국가 규모로 올라가있음을 상기할때,  이러한 Business와 Project 사이의 일종의 매개/통역/꿀벌과 같은 역할의 중요성과 이해관계자 관리의 특화 버번으로 생각하고, 대비하여 실행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