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더링 모드에서는 네트워크 접속 용량을 상당히 줄여야 합니다. 제 경우 강의 중 dropbox 및 synology cloud가 돌아가 네트워크 용량을 초과한 경우도 몇 번 있었죠. 이런 인적 실수를 줄이기 위해 아예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렇게 해두면 테더링 모드에서는 자동으로 네트워크 관련 앱/서비스가 종료되어 안심하고 테더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 경우 데더링 모드(WIFI 모드 혹은 USB 연결)로 들어가면 자동으로 다음 서비스 들을 종료가 되며, 또한 집/회사 네트웍크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켜 집니다.
1. Synology Cloud 클라이언트
2. Dropbox 클라이언트
3. 연결된 네트워크 드라이브 자동 Unmount
4. 타임머신 백업 옵션 Off
준비사항으로는 Keyboard Maestro 입니다. 우선 조건문(Trigger) 과 실행문(Execute)으로 구분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Keyboard Maestro 설명은 맥에서 Keyboard Maestro를 통한 작업 생산성 향상 방법 를 참고해주세요.
Keyboard Maestro : http://www.keyboardmaestro.com/main/
1. 테더링 장비명 정의
우선 USB 인식 및 WIFI 인식에 필요한 장비 이름을 명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아이폰 기준으로 설정 > 일반 > About 에서 Name 을 정의하면 되고, 핫스팟은 설정> Personal Hotspot 에서 정의합니다.
2. 테더링 시 자동으로 클라우드 OFF , 네트웍드라이브 해제, 타임머신 OFF 방법
2.1 트리거 등록
테더링 모드로 진입 트리거 조건을 선택합니다.제 경우 강의 모드면 USB로 접속, 일반 까페 같은 곳에서 간단히 접속할 때는 WIFI 모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테더링을 USB 및 WIFI 접속 둘 중에 하나라도 접속을 하게 되면 실행하라는 조건을 등록합니다. USB는 ‘iphone’ 이라는 이름이 포함될 경우, WIFI의 경우 “peter-iphone5”과 정확히 매칭될 경우라고 정의해 두었습니다.
2.2 실행 명령 등록
그 다음 위의 캡쳐 이미지 처럼 네트워크를 많이 차지하는 앱 및 관련 스크립트를 등록시킵니다.
1) 일반 앱 기반의 프로그램을 “Quit a Specific Application”명령어로 Synology Cloud Station과 Drobox를 선택합니다. 개인별로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를 많이 사용하는 앱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2) 네트워크 연결 드라이브를 해제하기 위해 “Execute a Shell Script”를 선택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네트워크 연결 드라이브만 모두 연결 해제 됩니다. USB/SD메모리 등은 그대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sudo find /Volumes -maxdepth 1 -not -user root -print0 | xargs -0 umount
3) 타임머신 백업을 선택해제 하기 위해 “Execute a Shell Script”를 선택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타임머신 백업이 자동으로 Off 됩니다.)
sudo defaults write /Library/Preferences/com.apple.TimeMachine AutoBackup -bool false
3. 테더링 시 자동으로 클라우드 ON 및 타임머신 서비스 ON 방법
이제 집 및 사무실 네트워크에 접속 되었을 때 반대로 자동으로 켜주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특정 집과 회사의 WIFI AP 명을 입력해 주고, 이 경우일 때만 클라우드 관련 서비스를 켜고, 타임머신 서비스를 켜주는 것으로 등록하였습니다.
타임머신을 자동으로 ON 시키는 명령어
sudo defaults write /Library/Preferences/com.apple.TimeMachine AutoBackup -bool true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