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적 관점에서 Agile 성숙도 – Organizational Views of Agile Maturity

Screen Shot 2013-12-24 at 7.58.43 AM

PMI.org 의 Voices on Project Management 에 올라온 blog post 중에서 조적적 관점에서 agile 성숙도를 측정할 수 있는 Tip 이 있어서 공유합니다.    조직 전체의 Agile  성숙도 향상을 위해서 우선적으로  Agile 팀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할 필요가 있는데  글은 평가할 수 있는 Tip을 제공해 줍니다.

요약하자면,

1). 이터레이션 마지막에서 팀의 작업을 묻지 말고, 조직의 모든 팀이 마치지 못한 작업을 주기적으로 (2주마다) 수치화 하여 봐라.  2). 모든 프로젝트 팀이 요구사항을 추가하는지 판단해라.   3). 모든 프로젝트 팀에 대한 회고동작 / 장애물에 대한 맥을 짚어라.

입니다. 결국은 Agile Manifesto 와 Agile 12 Principles 을 충실히 지켜야 한다는 의미 같습니다.

아래는 원문 URL과 번역내용입니다. (번역 내용이 매끄럽지 못해도 양해 바랍니다 ^^)

원문 :http://blogs.pmi.org/blog/voices_on_project_management/2012/08/organizational-views-of-agile.html

By Bill Krebs, PMI-ACP  on August 2, 2012 12:37 PM 

PMI의 2012 Pluse of the Profession에 따르면, 조직적 민첩함(Agile)의 요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 설문조사는 25% 이상의 응답자가 agile project 기법들을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숫자의 증가추세는 계속 유지 될 것이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그 설문조사는 성공적인 조직에, 원래 목적과 사업의도를 만족시키는 프로젝트 중 68%가 agile project management를 사용하였다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어떻게 Agile이 팀뿐만 아니라 조직 전체에 적용할 수 있을까?

Agile이 도입될 때, 훈련에 집중되어 있다. 팀이 Agile관련 훈련이 되었다면, 당신의 조직에 agile practice 커뮤니티를 육성하는데 역량을 이전하라. Agile이 성숙됨에 따라, 단순히 Agile을 쓰는 사람의 숫자 측정하는 것 이상으로 측정기준이 확장될 것이다. 측정기준은 agile의 이점이 실현되게 시작하고 있는지 측정할 것이다.

다음의 팁들은 조직이 해당 조직의 Agile 팀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1. 이터레이션 마지막에서 팀의 남은 작업을 묻는 대신, 조직의 모든 팀의 마치지 못한 작업을 봐라. 이것은 당신은 누가 더 많은 코칭이 필요한지 말해줄 것이다.
    예를 들면, 각 팀의 남은 작업을 2주마다 그래프화 해라. 어떤 팀이 더 많은 도움이 필요한지 볼수 있나? 성공 또는 성공하지 못한 이터레이션의 평균 경사도를 볼 수 있나? 이상적으로, 우리는 계획된 100%의 일을 시작하고, 50%의 일을 중간에 끝내고, 이터레이션 마지막에는 0%의 일이 남는다.
  2. 모든 프로젝트 팀이 요구사항을 추가하는지 판단해라. 이것은 당신이Agile을 강한 의지를 갖지 않고 실천하는지 말해줄 것이다. 강력한 Agile 팀은 시기 적절한 요구사항의 경쟁적인 이점을 포착하지만 이터레이션의 집중력을 잃지 않기 위해서 범위 변경은 제어를 할 것이다.
  3. 모든 프로젝트 팀에 대한 회고 동작과 장애물에 대한 맥을 짚어라. 이것은 팀이 계속적인 개선을 실천하는지 와 위험에 직면해 있는지를 말해줄 것이다.

조직적인 수준에서 위의 3가지 질문에 대한 물음은 처음에는 자연스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권장되었을 때는, 어떤 팀이 실제로 Agile을 이용하는지 새로운 시각이 밝혀질 것이다. 그들은 적용하는 과정에서 성숙되고 있기 때문이다.

조직적 민첩함(Agility)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떻습니까?

트랙백/핑백

  1. Organizational Views of Agile Maturity | All that Cuteness - 2월 12, 2014

    […] By openlinuz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