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료는 PM Solutions(http://www.pmsolutions.com)에서 2011년도에 247개 기업의 26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white paper 로 공개한 자료입니다.
조사를 한 목적은 아래의 질문에 대한 현재 기업들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었습니다.
-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교육의 가치는 무엇일까?
- 기업에서 프로젝트 관리 교육을 어느정도 실시하고 있나?
- 교육은 어떤 방법으로 실시하는가?
- 교육은 얼마나 효과가 있는가?
- 교육에 투자되는 금액은 얼마인가?
- 교육을 통해 기업이 얻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그 결과로..
1. 기업 규모별 PM교육은 대형기업이 85%로 가장 높았고
2. PM교육에 대한 결정권은 PMO가 43%로 가장 높았고
3. 프로젝트 관리 교육의 목적은
- 프로젝트 일정 지연 최소화(65%), 프로젝트 관리의 기초 기술 습득(63%), 프로젝트 관리 전문 인력 양성 (61%)의 순으로 나타났음.
4. 교육 일수 및 비용 측면에서는
- 년 평균 약 6일정도에 $2,211 을 투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 교육 요청 과정으로는
- 프로젝트 관리 기초(67%), 프로젝트 관리 중급(61%), 리더십 스킬(52%),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45%)의 순으로 집계되었습니다.
6. 교육 방법으로는
- 강사 초빙의 오프라인 강의가 85%로 가장 많았고, 교육 효과 역시 생각보다는 낮긴 하지만, 69%로 나왔습니다.
- 외국의 경우에도 외부 강사를 초빙하는 경우가 78%로 압도적이었습니다.
7. 교육에 대한 효과성 측정 부분에 있어서
- 한국의 경우 대부분 교육에 대한 효과 측정은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이 보고서에는 82%의 기업이 교육 수료 후 수강자에 대한 평가나 업무 진행의 변화를 측정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한다고 했습니다. 반면에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지 않는 기업도 19%나 되었습니다.
8. 마지막으로 교육에 따른 경영 성과 측면에서는
- 이해관계자 만족도 향상이 29%, 일정 준수률의 향상이 27%, 프로젝트 실패률의 감소가 26%, 원가 준수률 향상 25%, 요구사항 충족율 향상 25%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본 보고서를 통해서 외국에서도 많은 기업들이 프로젝트 관리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부단히 교육의 효과성에 대해서도 측정을 시도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되었습니다.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 시대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많은 일들을 프로젝트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진행하는 프로젝트마다 실패가 아닌 성공하기를 바라고 있으며 특히, 성공과 더불어 Time-to-market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렇기에 각 기업들은 기업의 실정에 맞는 프로젝트 관리 교육과 현재 어떻게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지에 대한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도 함께 파악하여 기업과 개인들이 교육에 투자하는 시간, 노력 그리고 비용들이 효과가 있도록 교육 전략도 수립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본 보고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82%의 기업이 교육 수료 후 수강자에 대한 평가나 업무 진행의 변화를 측정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 이 부분이 참 어려운 부분인데 82%나 시행하네요. 교육 효과의 이해관계자 만족도 향상이 29%, 일정 준수률의 향상이 27%, 프로젝트 실패률의 감소가 26%, 원가 준수률 향상 25%, 요구사항 충족율 향상 25%도 상당히 구체적이며 제시 근거가 좋은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