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 (Knowledge Process Outsourcing, 지식 프로세스 아웃소싱) 프로젝트를 위한 프로젝트 관리

현대는 지식 기반의 산업이죠. 제가 몸담고 있는 PM컨설팅/멘토링 분야도 업무와 지식기반의 프로세스 테일러링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업무/비즈니스 프로세스야 워낙 방법론들이 많으니 별 문제 없는데, 지식 프로세스가 취약한 부분이고 관리하기도 어렵습니다.  

전통 산업 혹은 일반적인 프로젝트에서는 TASK와 Kwnoledge를 각각 관리됩니다. 미국 표준 PM체계인 PMBOK에서는 WBS/TASK 기반의 범위/일정/원가를 포함한 9대 지식영역을 커버하는 반면, 지식은 산출물 및 교훈에 대해서 정도만 언급하고 있죠. 제품, R&D 및 IT/SW 적인 측면에서는 이러한 지식은 더욱 더 중요합니다. 프로젝트 수행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지식 기반의 체계를 바탕으로 노하우/산출물/교훈을 포함한 지적 자산을 남겨서 차기 유사 프로젝트에서 재활용을 해야하죠.  이러한 분야는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나 ALM(Application Management Lifecycle)에서도 다루는 주요한 내용입니다. PM이 모든 걸 다 하기가 쉽지는 않겠으나, 큰 범주로 TASK와  Knowledge에 대해서 어떻게 체계적이고 일관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철학과 방침을 가지고 있느냐가 핵심 경쟁력일 수 있습니다.

흔히 KM분야라고 알려져있는 이 분야에서 프로젝트관리에 중점하여 지식 관리하는 기법에 대한 좋은 저널 나와 소개합니다. KPO (지식 프로세스 아웃소싱) 관련 글입니다. 프로젝트리서치(주)의 주요 컨설팅/멘토링 서비스 중 하나에도 위키피디어 와 유사한 기업용 WIKI 엔진을 바탕으로 기업 및 프로젝트의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인데요, 여지껏은 KM 분야라고 이야기하고 있었는데, 이제 부터는 BPO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및 KPO (프로젝트 지식 프로세스)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 오히려 더 직관적일 것 같네요. 

 

[지식기반 아웃소싱 프로젝트의 핵심 실행 단계]

  • 1단계 : 상호 목표와 니즈를 명확히 할 것 
  • 2단계 : 명확하게 범위와 산출물을 정의할 것 
  • 3단계 : 문서 변경 통제 방침을 명확히 할 것 
  • 4단계 : 고객사 조직에서 지식에 대한 기록, 검즘, 승인에 대한 명확한 프로세스를 정의할 것 
  • 5단계 : 정의된 프로세스를 강제화하고 기록될 수 있게끔 통합 워크플로우 시스템을 설계할 것 
  • 6단계 : 범위와 산출물 변경에 대해 실행하고 평가를 나눌 것 
  • 7단계 : 프로젝트 산출물/교훈을 남기고 프로젝트/프로젝트 단계를 종료할 것 

PM for KPO Project

Process Management for Knowledge Process Outsourcing (KPO) Projects

– By Shashank Tilak and Dr. Deepa Bhide, PMP

지식 프로세스 아웃소싱(KPO) 프로젝트의 지식 저장소 관리 기법에 대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문서 다운로드 : PMI http://www.pmi.org/Knowledge-Center/~/media/PDF/Knowledge-Shelf/Bhide2012%20KPO.ashx   (복사본 문서 다운로드)

KPO Knowledge Process Outsourcing

지식 프로세스 아웃소싱

(신흥 성장 아웃소싱)

BPO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

(전통 아웃소싱)

분야

산업 지식기반 자산 창출

트랜잭션/실행 기반 서비스 구매

복잡성

보통 ~ 높은 복잡성

중간 ~ 낮은 복잡성

협업 

고객과 파트너

바이어와 벤더

목표 모델

높은 역량 기반의 창조 행위

방대한 제품에 대해
반복적이고 실행 기반의 작업의 완료 여부

핵심필요정보

프로젝트 최종 결과를 위한 고객의 목표와 이를 이행하기 위한 모든 정보에 대해 팀이 정보를 전달 받아야 함

벤더는 일정과 프로젝트 인수 항목 조건만 알고 있으면 됨

적용분야

고객과 파트너가 협업 모델로 일하는 근무 환경

고유하고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 개발

바이어에 의해 정의됨.  정의된 방침/지침들과 반복적 실행 항목들. 프로세스와 시간에 대해 통제되는 실행 단위 업무

프로세스

전문화된 지식 기반 목표

고유한 결과에 대해 개설되고 조정됨.

혁신 과제 형태로 프로젝트 팀으로 이양 됨

전문화된 프로세스 최적화 목표

생산적이고, 빠른 솔루션을 위한 공식적이고 조정 업무 

벤더 프로젝트 팀은 바이어에 의해 정의된 프로세스를 따름.

성과

개별 자원들의 역할 기여도

팀의 생산성 지표 이행도

비용

결과 산출 기반 산정

트랜잭션 기반 산정

프로젝트리서치(주)의 주요 컨설팅/멘토링 서비스 중 하나에도 위키피디어 와 유사한 기업용 WIKI 엔진을 바탕으로 기업 및 프로젝트의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있습니다. 여지껏은 KM 분야라고 이야기하고 있었는데, 이제 부터는 BPO 및 KPO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 오히려 더 직관적일 것 같네요.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