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loud (300G), Dropbox (22G) , iCloud (5G)를 사용하면서 전혀 문제 없다가, uCloud 용량도 300G를 육박하면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했습니다.기존 Mac 과의 자료 Cloud Sync는 물론 모바일 환경에서도 바로 열람/메일을 보낼 수 있는 것이 가장 필요한 요구 기능이있고, 이를 만족하는 Synology DS213+ (3Tx2)로 환경을 변경하여 이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합니다.
- 장비구성
- 클라우드
- 원격접속
- 사진 / 음악 / 영상
- 백업/타임머신
- 아이폰에서 활용
1. 장비구성
1.1 H/W
- Airport Extreme : 내부 네트웍을 2.5G, 5G 듀얼 채널로 나누어 iPhone4s에서는 150M로, Macbook에서는 300M로 접속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 Synology DS213+ (3Tx2) : 3T를 구성하여 모든 기준 자료를 Synology 서버에 담아 두기로 정하고 설정하였습니다.
- 새롬 HDD Duplicator DP-2U3 (USB3.0) : Synology 데이터 백업 및 TimeMachine 백업을 위한 용도로 Synology DS213+에 USB3.0 구성으로 붙였습니다.
- 모든 내부 네트웍은 1G (UTP6) 케이블로 구성하였습니다. (Synology 구매시 포함되어 온 케이블인 UTP-5e 케이블은 버렸습니다.)
1.2 Network
포트포워딩 : 기본적으로 서버 역할을 하는 Synology와 iMac은 유선 네트웍을 이용했습니다.
Synology를 위한 포트 설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SM : 5000-5008 –> 5000-5008
- FTP : 2121, 990, 20, 989, 2121, 7000-7001, 55536-55551 –> 21, 990, 20, 989, 2121, 7000-7001, 55536-55551
- SSH/AFP : 2222,8080, 873, 5555 –> 22, 80, 873, 548
- Cloud : 6690 –> 6690
- VPN : 1723 –> 1723
Synology 접속을 독립 도메인으로 접속하기 위해 ( 예: nas.도메인명 ) DNSEver를 등록했으며, 이의 주소 갱신을 위해 Synology에 terminal로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었습니다. (물론 Synology 기본 서버에서 제공하는 것(예.계정.synology.me같은)을 이용하면 쉽게 액세스가 가능 합니다.)
- Terminal 에서 SSH로 Synology에 root 계정으로 SSH 접속 : ssh root@Synology주소
- /etc 에 DNSEver.sh 파일 작성 : vi /etc/DNSEver.sh”
- 다음 내용 입력 후 저장 후 종료 : curl -u ID:인증번호 ‘http://dyna.dnsever.com/update.php?host\[원하는도메인명예)nas.domain.name\]’
- 실행 권한 줌 : chmod 755 /etc/DNSEver.sh
- 다음 명령어로 crontab을 통해 5분 단위로 갱신 하도록 함 : vi /etc/crontab 후 다음 내용 입력 “5 0 * * * root /etc/DNSEver.sh” 저장 후 종료
본 과정을 거치면 외부에서도 Airport extreme 하단에 있는 Synology 서버로 접근 제어가 가능합니다. (저는 웹서비스는 해외 웹호스팅을 사용하여 Synology의 관련 서비스 Port Forwarding은 하지 않았습니다.)
2. 클라우드
결정적으로 클라우드 기능 때문에 uCloud를 버리고 Synology로 넘어왔는데 클라우드에는 문서 자료만 정리했습니다. 기존에 uCloud에서는 사진/영상을 같이 관리했었는데, 이번에 정리하면서 사진, 영상 파일은 Synology가 가이드 하는 폴더인 photo, video로 이관하였습니다. 속도와 아이폰에서의 접속뿐만 아니라 sync 성능에 전혀 문제가 없었습니다. (거의 8-9M 속도가 나옵니다.)이렇게 하면 Windows, Mac 및 아이폰,아이패드에서도 원활하게 자료가 sync되고 또한 iOS를 통해서 지인에게 개별 파일을 보낼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는 특이하게도 uCloud 에서 이동했던 파일 중에 한글 폴더 및 파일 명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다음 명령어로 reset 해주니 다음부터는 원활하게 잘 sync 되었습니다.
find ~/CloudStation -exec touch {} \;
3. 원격접속
3.1 Mac에서 원격 접속
Mac에서 원격 접속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AF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법과 윈도우와 동일하게 WebDAV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둘 다 장단점이 있으지 비교해 보고 사용하세요. AFP 프로토콜은 각각의 공유 폴더를 마운트 하는 개념이고, WebDAV 프로토콜은 계정을 중심으로 모든 공유된 폴더를 가지고 들어가는 점이 좀 다릅니다. 속도는 Airport Extreme에 직접 USB외장하드를 붙이는 것 보다 좀 느리긴 하지만 전체적인 자료의 통일성을 위해서 속도보다는 편리성인 Synology를 위주로 접속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AFP 프로토콜은 기준인 486을 사용하지 않고 앞서 정의한 5555번을 통해서 486 포트를 포트포워딩 했습니다. 이는 Airport Extreme 내의 iMac 혹은 향후 USB 외장하드와 연결을 (iCloud 계정을 통해서) 기본 포트 연결 그대로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3.2 Windows에서 원격 접속
윈도우에서는 Netdrive를 이용해서 WebDav 프로토콜로 설정하면 됩니다. http://www.netdrive.net/features.html 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개인 목적의 사용자는 무료입니다. 단 주의 할 점은 UTF-8 환경과 WebDAV 프로토콜 암호화 포트인 5006번을 정해준다입니다.
4. 사진 / 음악 / 영상
사진은 흩어져 있는 Lightroom, Aperture 및 iPhoto 아울러 원본 사진 파일을 시놀로지의 사진/photo 폴더에 집합시켰습니다. 물론 외부 사진 공유는 Flickr Pro 계정을 이용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로컬 파일에 대해서 좀 더 통합적인 관리가 필요했습니다. (지금 속도 측정을 하고 있는데 Airport Extreme에 붙이는 것에 비해 좀 느린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Airport Extreme에 두고 이를 Synonogy에서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형태로할까도 고민 중입니다.)
음악은 iTunes로 모든 파일을 관리했는데, 이 iTunes 폴더를 아예 음악/music 폴더에 이동 시켰습니다. (지금 속도 측정을 하고 있는데 Airport Extreme에 붙이는 것에 비해 좀 느린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Airport Extreme에 두고 이를 Synonogy에서 정기적으로 백업하는 형태로할까도 고민 중입니다.)
영상은 가지고 있는 영화 파일을 시놀로지에 AirVideo 서버를 설치하여 보려고 우선 Video 폴더에 넣어 놓았습니다. 현재 이것을 iOS의 FTP를 지원하는 전용 App을 설치하여 직접 보는 방식으로 할 지 고민 중입니다.
사진/음악/영상에 대한 노하우는 좀 더 튜닝을 한 후에 2차 공유 하도록 하겠습니다.
5. 백업
백업 구성 룰은 다음과 같이 하였습니다.
- 1차 백업 : 이동이 잦은 MBA는 USB 3.0을 직접 붙여서 타임머신을 돌리며, 고정되어 있는 iMac은 Synology의 외장하드에 직접 TimeMachin을 돌림
- 2차 백업 :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ChronoSync에 의해 Synology에 백업함
- 3차 백업 : Synology 내에서 RAID 방식에 의해 자체 백업 함
- 4차 백업 : Synology 내의 자료를 직접 USB 3.0 외장하드에 정기적으로 백업 함
- 5차 백업 (아직 미시행) : 미국내 서버에 rsync에 의해 정기적으로 Synology 자료를 백업 함
새로텍의 DP-2U3 모델을 구매하여 Synology DS213+ 서버에 USB 3.0 케이블을 이용하여 붙였습니다. 이후 Synology가 권장하는 EXT4 포맷으로 포맷하여 HDD 하나는 Synology의 데이터 정기 백업용으로 하나는 타임머신 백업 용으로 설정하였습니다.
Synology의 “타임백업” 기능을 통해 주1회 Synology DATA > USB 외장하드에 되도록 설정하였습니다.
타임머신 백업은 Synology에서는 별도로 설정해준 것 없고, Mac OSX의 타임머신 설정에서 디스크를 선택하면 하단과 같이 Synology의 USB 외장하드가 보이게 됩니다. 이를 선택해주면 자동으로 백업 됩니다.
6. 아이폰에서 활용
Synology에서 제공하는 기본앱은 설정, 파일, 사진, 음악, 영상입니다. 제가 별도로 사용하고 있는 앱은
- SynoDS : 다운로드를 토렌트를 직접 검색하고 다운로드 받게 해줍니다. 아이폰에서 다운로드 받게하고 나중에 Mac에서 확인하는 형태로 편합니다.
- CameraSync : 아이폰내의 사진/동영상을 Synology FTP 서버로 자동으로 보내줍니다. 물론 포토스트림이 편하지만 포토스트림은 동영상을 보내주진 못하는데 반해서 CameraSync는 동영상은 물론 Flickr 같은 서버에도 자동으로 업로드를 시켜줍니다.
- Prompt : 가끔 Terminal로 접속할일이 있는데 이때 Prompt를 사용합니다.
참고 글 (좀 오래되었네요)
세대의 Mac간의 Sync, 백업, 원격접속 방법 (MoibleMe & Aireport Exterme 활용)
Mac에서 DNSEver의 Dynamic DNS 사용하기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백업이 5차까지 가는 것도 인상적입니다. 저는 나중에 포고플러그를 이용 http://poem23.com/2383 해서 개인 클라우드를 만들어볼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또하나의 대안이 나타났군요.
포고플러그도 Dropbox나 uCloud같이 Cloud Sync를 지원하나요? Private Cloud 천국이네요.
시놀리지 사용하고 있는데…
역시 활용하시는게 저와 틀리고 많이 배워 갑니다.
항상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필요에 의해서 설정하다보니 Synology의 장점인 다른 이기종과의 호환성은 좀 약하네요. Cloud / 네트워크 위주로만 되어있어요.. 나중에 Extreme과의 궁합도 봐야겠어요.
나스장비에 aft는 어떻게 활성화 시키나요?
설정에 보시면 AFP 프로토콜 ON 하는 곳이 있습니다.
시놀리지 클라우드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맥에서 PDF 파일에 형광펜, 메모, 주석을 달아 클아우드 스테이션으로 업로드하여 아이폰,아이패드 GoodReader 앱 싱크 기능으로 쌍방으로 형광펜, 메모를 달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아이폰에서 입력한 형광펜은 맥에서 자동으로 싱크가 되지 않더라구요.
아이폰(O) -> 시놀리지(O) -> 맥(x) 으로 되지 않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안드로이드 갤럭시2로 시험했는데… 그건 또 되더라구요.
아이폰, 아이패드 클라우드 싱크 PDF 리더 괜찮은것 혹시 없을까요?
여기 참고하였습니다. http://macnlife.tistory.com/62
해결했습니다. 굿리더 어플이 문제였던것 같습니다.
굿리더는 PDF 형광펜, 메모 입력시 싱크하면 “덮어쓰기”를 하여 싱크라는 개념이 이상했습니다.
그런데 ReaddleDocs앱은 PDF 형광펜, 메모 입력 싱크가 덮어쓰기가 아닌 자동적으로 추가하는듯 바로 바로싱크가 이루지더군요. 아주 만족스럽습니다. 클라우드스테이션에 만족합니다.
제가 이제 데몬씽크를 사용할려고 고민이 생겼습니다. 시놀리지 클라우드 스테이션을 적용하여 집, 직장 맥 모두 싱크되게 하고 싶은데…. 이 클라우드 스테이션 개념이 어차피 “맥북 하드에 저장” 이라는 개념이잖습니까? 맥북 하드 용량이 딸리는데…. 계속 문서 DOC, PDF가 늘어나면…. 감당히 힘들것 같아…
파일을 모두 시놀리지에 올려두고…. 내 맥북에서 원격으로 관리, 데몬씽크가 시놀리지 나스를 인덱싱하는 방법 없을까요??
이것 고민입니다. 계속 데이터가 늘어날것인데…. 모든 파일을 인덱싱하고 싶은데….
제 하드 용량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것인가? 고민입니다.
해결 방법이 없을까요??^^
제 경우 Index는 거의 쓰지 않고, 매년 라이브러리DB 파일을 만들어 버리고 당해/직전 년도의 Library만 가지고 다닙니다. 굳이 쓰신다면 문서 파일을 별도 드라이브로 마운트하시구요. Index 하신 후 동일 이름으로 A,B 맥 모두 같은 이름으로 마운트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Devonthink의 File > Index를 선택하셔서 NAS의 폴더를 선택하시구요. 이후 File 갱신이 있을때는 File > Update Indexed Items..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렇게하시면 물리적인 파일은 NAS에 저장되고 Devonthink는 단지 검색 Cache 정도만 가지고 있게 됩니다.
초면에 실례해요.. nas카페서 보고 왔는데요..
혹시나 힌트를 알고 계실거 같아서.. 불쑥 연락드려요..
http://cafe.naver.com/synologynas/20986
해결하셨나요? 화면을 보니 Synology의 기본 포트에 맞춰 Port Forwarding을 하셔야하는 다른걸 하셨네요. 예를 들어 FTP 2121 > 21 이 되어야 하는데 2121 > 2121로 되어있어요.. 결론은 Synology의 기본 서비스 포트를 확인하셔서, 이를 Airport Extreme의 NAT 설정에서 잡아주셔야 해요.
안녕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DS215j 나스를 구입해서 Time Machine 설정을 하려는데 아무리 해도 공유기에 연결된 나스폴더가 목록에 나오질않네요. 보통 사용자, 공유폴더를 따로 만들어서 설정하면 되는거같은데 안뜨네요. 혹시 참고할만한 내용이 있을까요?? 그리고 마지막 내용중 SynoDS와 현재 공식앱 DS download 두 개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