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cafe 에서 국내 최초의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 책인 “프로젝트 리스크 매니지먼트” 도서 출간 기념 세미나를 수행했습니다.
저자인 한동환 PMPcafe 대표시삽 및 이레테크의 민경현 팀장님께서 각각 1시간씩 PMBOK 리스크관리 요약과 @Risk 를 통한 몬테까를로시뮬레이션 기법에 대한 데모가 있었습니다.
1. 프로젝트리스크 관리 (한동환 대표)
2. @Risk 소개 (민경현 팀장)
1. 프로젝트리스크 관리 (한동환 대표)
초반기에는 가볍게 Risk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어원과 Risk와 관련된 명언, 그리고 흔히 부정적 위험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설명하였고, 이는 긍적적 이벤트는 확률과/영향도를 증가시키되 부정적 이벤트에 대해서는 이를 감소시켜야 한다는 PMBOK 가이드를 참고로 이야기를 풀었습니다.
리스크관리가 필요한 이유로써 1444명의 사상자를 냈던 삼풍백화점의 사례를 들었고, 이러한 Risk 관리가 필요한 요인으로 15억$ 예산이 집행된 “버즈칼리파” 건물이라든가, 2조5000억여원이 투입된 인천대교 역시 철저한 리스크관리의 수행으로 성공리에 완료되었다고 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미래의 불확실성과 No Risk, No Gain이라는 표제의 예로 본인의 패러슐라이드 이야기로 리스크를 감수해야한다고 강조하였습니다.
프로젝트 리스크가 영향을 미치는 지식 분야가 범위, 일정, 원가, 품질, 의사소통, 인적자원 및 조달 등 모든 분야에 리스크가 미치기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한다고 강조합니다.
리스크 관리를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치 인식으로 개인별 책임 및 동의를 얻고, 정직하고 열린 의사소통, 조직의 노력 및 프로젝트 규모에 맞는 노력, 아울러 프로젝트 관리와 통합되어야 함을 강조합니다. Prezi로 발표된 Presentation은 미리 공지되어 수강자도 그대로 iPad를 같이 보며 따라오셨습니다.
보다 더 체계적인 리스크관리를 위해 AZURISK 솔루션을 두어 시스템적으로 관리하는 방법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유형별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과, 민감도 분석, 아울러 EMV/의사결정나무를 통한 방법이 리스크의 정량 분석시에 많이 쓰인다 설명합니다.
리스크는 크게 회피하거나, 위임/전가 혹은 수용하는 방법이 있음을 섦명합니다.
이번 한시간 동안 가장 중요한/요긴한 장표 골라봐 하면, 저는 서슴치않고 RISK등록부 양식 인 것 같습니다.
2. @Risk 소개 (민경현 팀장)
민경현 팀장님은 리스크 관리 기법으로 3단계가 있는데 초기 1단계는 전문가에 의한 정성적 분석 단계, 2단계는 통계기법의 정량적 분석, 3단계는 이러한 정성/정량 단계를 시뮬레이션 하는 고급 기법이 있고, 포츈 100대 기업중 95% 및 예일/콜롬비아/코넬/하버드/프린스턴/MIT 에서도 몬테까를로 시뮬레이션기법 혹은 @Risk를 이용하여 많은 시뮬레이션이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엑셀 Add-on 형태의 @Risk 프로그램은 엑셀/모형구축 > 모형 시뮬레이션 변수 정의 > 시뮬레이션 실행 >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의 형태로 이뤄짐을 설명하였습니다.
데모는 크게 두가지가 이뤄졌는데, (1) Go / No Decision 및 (2) 포트폴리오 투자 최적값을 찾은 시연이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NPV/IRR 의 한계가 있기때문에 원하는 확률 빈도 혹은 수반되는 사업 리스크가 정량화 표현되게끔 하는 데모였습니다.
이러한 사업A,B의 조건을 두고 가장 최적 혹은 수용가능할 만한 리스크% 범위를 꺼꾸로 정해놓고 위험 대비 수익 예측 보고서 작성이라든가 하는 기획업무에 최적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프로젝트 관련하여서는 스케쥴 일정 예측이나 Exit Criteria 혹은 Budget 설정할때 이러한 몬테카를로/@Risk를 사용하면 유리하다고 합니다.
끝으로 민경현 팀장님 인사말과 한동환 대표 시삽의 출판 서명회도 함께 열렸습니다.
까페 세미나를 마치고 스텝/운영진 모임을 늘 즐겁습니다. 예전에는 수강생들도 같이 참여했는데, 최근에는 저희 끼리만 모임을 잡는 것 같네요.
한동환 대표의 Prezi를 이용한 프로젝트리스크관리 발표자료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Prezi 발표자료 : http://prezi.com/pdrokantqbia/project-risk-management/
발표 사진 모음 : http://www.flickr.com/photos/tykim21/sets/72157630330743992/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블로그 글 잘 봤습니다. 저도 프로젝트 책 다 봤는데요 혹시 녹음 하신 거 있으시다면 저도 좀 부탁드립니다. 시물레이션은 이해가 가는데요 앞 부분에 pmi 리스크 쪽은 잘 모르겠습니다.
http://www.pmpcafe.com/ps3/?mid=e_seminar&cmd=detail&s_srl=1156869 리스크관리 동영상을 보실 수 있으세요.
답변 감사합니다. 메일주소 남겼는데 메일로 답글이 안 와서 오늘 봤어요
저도 동영상 꼭 봐야 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