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 정약용 선생님으로 부터 배우는 우리의 가치 체계의 중요성

다산 정약용 선생님 250주년하여 다산을 다시 생각해보게 됩니다. 기획자의 롤모델이라고 생각하고 정도전/정약용을 파고있는데요.. 다산정신의 ‘내수외학(內修外學)’ 정신을 공유합니다.

다산은 공예와 기술은 외국으로부터 배워야 하지만 도덕과 의리는 자주적으로 닦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그의 소위 서학에 대한 자기 비판적 태도를 표명한 것이었으며 이 사상을 계승한 ‘내수외학’의 표어는 민족의 자주 발전을 위한 개화운동에서 커다란 의의를 부여하였다”(『실학파와 정다산』최익환 저. P.288)

 

다산 정약용선생님의 유배 생활 2년 시점에 두 아들에게 당부하는 처세 방법에서 제시한 마음에 만 백성에게 혜택을 주어야겠다는 생각과 만들을 자라게 해야겠다는 뜻을 가져야 한다는 근본적인 정신을 언급합니다.

반드시 처음에는 경학 공부를 하여 밑바탕을 다진 후에 옛날의 역사책을 섭렵하여 옛 정치의 득실과 잘 다스려진 이유와 어지러웠던 이유 등의 근원을 캐볼 뿐 아니라 또 모름지기 실용의 학문, 곧 실학에 마음을 두고 옛사람들이 나라를 다스리고 세상을 구했던 글들을 자주 읽도록 해야한다. 마음에 항상 만백성에게 혜택을 주어야겠다는 생각과 만물을 자라게 해야겠다는 뜻을 
가지고 있은 뒤라야만 바야흐로 참다운 독서를 한 군자라 할 수 있다. ( 다산 정약용, 두 아들에게 쓴 편지. 1802.12.22. 강진  )

정약용 001 001

PM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체계/방법론은 Global 표준인 PMBOK/PRINCE2를 모델링하는 것이 맞지만, PM이 발휘해야하는 리더십/소프트스킬은 결국 우리민족의 가치/에서 태동되어야하죠. 이러한 인문고전은 철저하게 우리의 조선시대의 실록/의궤뿐만아니라 각종 문학서 등에서 도출되어야할 것 같습니다.

 

팝송의 멜로디는 와닿지만, 가사는 잘 안 와닿는 것 처럼요.  멜로디에 한글 가사를 통해 우리의 감성을 실어주는 가요의 감성적 터치처럼…. 가르치지 않아도 내안에 잠든 우리의 인본주의 정신이 발휘되로록요. 프로젝트리서치에서 이러한 기획자 롤모델로 정약용, 정도전을 잡고 선인들의 철학/방법론을 현대적으로 전략가/기획자로 재해석하여 확산하는 노력을 하려합니다. 많이 힘 북돋와 주세요.

최근 정약용의 수원화성 기획을 놓고 스토리텔링식으로 접근한 이지은 선생님 글도 좋고요, 반년전 잘 모를때 썼던 기획 및 연구자의 롤모델이 되는 다산 정약용 – 茶山 丁若鏞 정리 글도 있네요. 좀 더 파고 싶으신 분은 다산 정약용에 대해 국내 최고 전문가인 백민정 박사님의 강의실에서 찾아온 유학자들 : 공자에서 정약용까지, 대표 유학자 13인이 말하다 이나 정약용의 철학 : 주희와 마테오리치를 넘어 새로운 체계로 도서 추천드립니다.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4개의 답글 to “다산 정약용 선생님으로 부터 배우는 우리의 가치 체계의 중요성”

  1. 다산 정약용 선생님에 대해 구체적이진 않은 관심을 갖고 있었는데,
    좀더 연구해서 현재에 반영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2. 정조의 재위는 1776-1800년이지만 정약용 선생과 마찬가지로 1752-1800년과 같이 생몰연도를 표기하는 것이 일관성 측면에서 더 나을 것 같습니다.

  3. 저도 정도전 / 정약용에 대해 관심이 큽니다! 개인적으로 정도전이 더 좋지만요~ 힘내세요~ 그리고 멋진 연구자료들 부탁드리겠습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