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19일 부터 매주 월요일마다 한국형리더십개발원 박현모 교수님으로부터 “정조이야기” 특강을 총 10 차례에 걸쳐서 들었습니다. 세종대왕의 국내 최고의 권위자인 박현모 교수님의 박사 논문은 정조이십니다. 전문가 답게 정조를 다각적인 면으로 설명해주셨습니다.
제 경우 정조의 수원화성에 대해 특화하여 한국형 프로젝트리더십에 대해 기업체 특강을 진행하는 관계로, 정조 및 다산 정약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 당시의 사회적, 정치적 환경속에서 어떻게 판단하고 대응하셨는지에 대해 때론 200년전의 시대로 돌아간 것 처럼 착각에 빠져 들 정도로 다각적인 분석과 스토리텔링 이야기로 감동을 주셨습니다.
- 영조시대의 유산 (후기)
- 경연 및 문예부흥 (후기)
- 노론의 정치론과 정치술
- 지식경영 / 경연 (후기)
- 탕평정책, 인재정책
- 개혁정치 (후기)
- 군제개혁
- 수원화성건설
- 정조의 재판
- 정조의 죽음
특강으로 진행된 내용에서도 지식리더십, 국가전례, 무예, 건축 및 다산 정약용에 대해 전문가가 느끼는 정말 깊숙하고 정제된 이야기를 통해 그 당시의 분위기, 철학, 군사, 건축 등 다방면의 내용도 이해하고 섭렵할 수가 있었고, 이를 통해 정조를 더 깊숙히 이해할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 18세기 문예부흥과 정조의 지적 리더십, 정순우 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 국가전례와 음악, 송지원 교수(서울대)
- “무예도보통지” 속의 병장기, 김영호 대표 (무예24기)
- 정조시대의 건축, 김봉렬 교수(한예종)
- 정약용의 수양론과 경세학, 백민정 교수 (성균관대)
아울러 마지막 종강시간의 “정조, 서얼 허통 문제로 고뇌하다!” 주제로의 상황극 재현으로 정조를 더욱 깊숙히 느낄 수 있게 된 것 같습니다.
또한 수업을 같이 듣는 호주정부관광청의 최승원 지사장님께서 직접 푸짐한 선물도 많이 협찬해주셨습니다.
특히나 이번 정조1기 종강을 기념해주시기 위해서 세종1기 (총5기까지 있으십니다) 선배님께서 오셔서 격려해주시고 박현모교수님의 세종이야기를 어떻게 감동받았고, 어떻게 실 생활에 적용하는지에 대해서도 이야기해주시는 뜻 깊은 시간도 있었습니다.
세종문화회관 세종예술아카데미의 배고플까 저녁 식사/음료, 윤건릉 현장 참여, 때론 10시가 넘게까지도 싫은 내색 없이 정말 열심히 지원해주시고, 종강 역할극때의 의상까지 협찬은 물론 매회 일 있을때마다 연락을 마다않고 다 해주셨습니다. 교육을 많이 받아도 보았고, 진행도 해 보았지만 정말 이러한 교육 시스템이 고맙기도하고 자랑스럽기까지 했습니다. (왼쪽 맨 끝에 앉아계신분이 교육 담당자 도준 대리님이십니다.^^)
정조1기 회장직을 수행하실 박순천 대표님이 종강과 교수님의 생일을 기념하여 대표 선물(훈민정음 넥타이)와 꽃다발을 전달해 드렸습니다.
종강파티에서는 서로 돌아가며 정조에 대한 느낀점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IT 및 PM분야에만 종사해온 저에게는 “한국형리더십개발원”과 인연을 맺게되어 한국형프로젝트관리기법에 대해 더욱 풍성하게 멘토링을 받으며 연구할 수 있는 인연을 맺게 되어서 너무나 행복합니다. 프로젝트리서치 대표로써 또한 한국형리더십개발원의 책임연구원으로써 한국의 고유한 프로젝트기법이 더욱 견고해지고, 이를 기업체에 보급되어 널리 확장될 일을 생각하니, 더욱 더 가슴이 뛰는 것 같습니다. 박영민 회장님, 박현모교수님, 최형미국장님, 김영호이사님, 김기섭이사님, 국정호팀장님, 최문식 책임님, 백민정 교수님, 그리고 도준대리님.. 정말 감사합니다.
정조1기 의 사진은 원본보기 | 슬라이드보기 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정조1기 총무님! 이렇게 멋지게 정리를 해주셔서 그동안의 시간들이 새록 새록 다가옵니다.
항상 열심히 기록하시고 정리하시여, 공유해주시니 기쁠따름인져, 앞으로도 공부하는 네트워크로 이어지기를 소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