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on 서버 구성

LION OS에서 50$만 지불하면 바로 서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이 LION SERVER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LAMP (Linux/Apache/MySQL/PHP)류같은 서비스와는 차이가 많습니다. 무려 12개의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하나하나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creen Shot 2011 08 26 at 12 37 30 AM

 

 

 

 

LDAP/오픈디렉토리

사용자/그룹 정의를 합니다. 이를 통해 웹/파일서버/WIKI 등등 나머지 11개 서비스의 개별 보안/제어를 담당하게 됩니다.

 

Profile manager

Lion 클라이언트와 iPhone 및 iPad와 같은 iOS 계열의 기기 DM (Device Management) 지원 기능입니다. 주소록/달력/iChat/메일/VPN 구성등을 자동으로 클라이언트에 내려보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특이한 것이 Profile Manager는 Apple 푸쉬 서버와 연동이 되기때문에 iOS 단말이 켜져만 있다면 바로 제어가 가능합니다.   전체는 아니지만 구체적인 예제는 OS X Lion 그리고 Lock & Wipe & Recovery 굴비님 글을 참고하시면 기능 이해가 되실 겁니다.  기업내 Mac(Lion) , iOS의 제어가 이 Profile Manager에 의해서 통합 가능하게 됩니다.  LION Server의 가장 강력한 기능이 Profile Manager를한  iOS 장비 관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Managing iOS Devices with OS X Lion Server

Photo

 

TM/백업

Server를 타임머신 백업으로 사용하는 옵션인데. 이렇게 되면 앞서의 Profile Manager와 연계되어, OS 복구/설치까지 서버가 담당하게 됩니다. 이렇게 되려면 서버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리소스가 상당히 높아야하기 때문에, 효용성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 싶지만, 개별 USB 장비를 금지시키고 오로지 타임머신/네트워크 서버에만 저장을 하는 의도라면 이해가 되긴 합니다.

 

VPN/보안

회사의 네트워크/서비스의 제약은 동일 네트워크에서만 가능하며, 원격지/출장지에서의 이러한 제어가 가능하게 하려면 VPN을 통한 접속이 가능해야합니다.  LION에서는 이를 SW로 제어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스코와 같은 HW VPN 장비 없이도 이러한 기능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Airport Extreme가 최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면, 이를 위해 Airport Extreme에 포트포워딩까지 자동으로 설정해 주었습니다.  해외 출장자 역시 국내 네트웍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지요.

 

파일서버

일반적인 LION의 파일공유와 동일합니다만, 추가적으로 WebDAV 까지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iOS 기기의 저장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죠.  그리고 잘 보시면 FTP 서버가 없어졌습니다.

 

iChat 서버

iChat 채팅서버입니다. 아쉽게도 Lion 끼리의 iChat 만 지원하구요. iOS는 Facetime이나 iMessage에 의해서 별도로 운영해야합니다. 이러한 OSX Lion 및 iOS를 아우르는 통합 채팅서버가 필요합니다. (Windows도 지원되는..)

 

메일/달력/주소록

이 부분은 Google Apps나 Exchange Server와 같이 사용자에게 메일/달력/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여줍니다. 일정수립 시 사용자를 초대할 수 있고, 파일첨부나 가능한 미팅시간을 확인하는 기초적인 일정이 가능하고, 주소록은 공용주소록 관리가 가능하게 됩니다. 물론 iOS까지 Push로 지원합니다.

 

WEB/PHP서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이나 이번 LION부터는 MySQL이 Oracle과의 라이센스 문제 때문인지 누락되었습니다. 물론 PostgreSQL을 지원하고, 많은 유명한 서비스들이 Oracle/MySQL/PostgreSQL을 지원하기 때문에 제약이 없을 수 있으나, 아무래도 국내 유저에게는 MySQL이 익숙하게 널리 쓰이고 있기때문에 좀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앞서 파일서버의 FTP 서비스마저 없어졌기 때문에 아무래도 이부분은 3rd Party를 사용해야할 것 같습니다. OSX에서 유명한 웹서버 3rd-Party가 MAMP 인데요. UI가 상당히 편합니다. 저도 몸담고 있는 PMPCafe의 시즌2 서비스 개발을 MAMP 를 통해서 했는데요, 원클릭으로 쉽게 설정이 되었습니다. 국내 Demitro/김용석님께서 맥으로 집에서 블로그 운영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였으니 이 글을 참고하세요.

 

WIKI / 팟캐스트

애플의 장점이 뭐든지 쉽게 만든다인데요. 웹서비스의 대표 서비스 중의 하나인 지식 협업/저장소 공간인 WIKI를 매우 쉽게 설정하여 KM(Knowledge Management) 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인터넷 브로드캐스팅의 대명사인 팟캐스트에 대한 서비스는 물론 저작도구 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쉽게 작성하여 올릴 것 같습니다.

 

 

손쉬운 통합관리

이러한 12가지나 되는 개별적으로 매우 설정이 까다로운 것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는 LION 서버는 실로 대단하다고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또한 Airport Extreme의 설정까지 자동으로 해주기때문에, 정말 서비스만 ON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버 구성도 매우쉽게 되어 있구요.

Lion server

실제 LION 의 서버를 제대로 운영하시는 예제는 찾아보기가 힘든데요. 화면 구성 및 서비스 개요에 대해서는 ZOOY님의 [Mac OS X Lion Server 라이언 서버]Mac OS X Snow Leopard Server VS Lion Server(스노우 레퍼드 서버와 라이언 서버의 비교기)애플 라이언 서버 특징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8개의 답글 to “Lion 서버 구성”

  1.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2. 감사합니다.
    달력의 경우 아이폰에서 저와 와이프의 달력을 유지하면서 필요할때는 서로의것을 확인할수가 있을까요?
    혹은 아직 icloud를 해 보지 않았는데 저의 iphone에서 두개의 ID를 설정하고 필요에따라 다른 ID것을 확인해 볼수 있을까요?
    둘다 된다면 어떤쪽이 나을까요?

    • iOS5 올라오면서 기기 정책을 잘 만들어야 해요. iOS4 까지는 저도 칼렌더의 저,아내의 칼렌더를 구분해서 사용해왔는데, iCloud 덕분에 재조정해야할 것 같네요.
      우선 iCloud로 계정 분리를 하시고, Store ID는 공유하는 방식으로 하세요. 아직까진 ME 칼렌더가 공유되진 않지만.. 나중에 되겠죠.

  3. 아 또한가지 질문은요 File sharing은 라이언에서도 system preference로 설정이 가능한데 server로 하는것과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감사합니다.

    • File Sharing만이 목적이라면 그냥 Lion/client 사용하시면 됩니다. Server는 계정관리서버역할을 하면서, 이 계정 끼리의 권한을 조정하여 파일/iOS 등과의 연동/협업에 중점이 맞추어져 있어요.

  4. 뭐가 대단하지요?? 기능을 이용해보셨나요??
    config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은 없고 on/off 기능만으로 무슨 서버 기능을 합니까?
    기본 구성을 어케하죠?

    • 이런투의 어투는 기분을 좋지않게 하네요.
      설정은 각 서비스의 웹회면을 보시면 되구요
      필요한 용도에 맞추어 쓰면 되고 ,
      마음에 들지 않으면 안쓰면 되는거 아닌가요?

  5. 이윤기 :
    뭐가 대단하지요?? 기능을 이용해보셨나요??
    config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능은 없고 on/off 기능만으로 무슨 서버 기능을 합니까?
    기본 구성을 어케하죠?

    윗분 정말 보기 안좋네요…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