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ON 설치 후 한국/한글형 기본 설치 앱 및 환경 설정 정보

2012.10.02 Mountain Lion 용으로 새롭게 정리했으니, 이리로 오셔서 보세요. 한국/한글 특성에 맞는 Mountain Lion 권장 유틸리티 모음

 

최근 지인 및 저의 LION (10.7) 설치 이후 기본 환경 설정에 대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1. OSX LION 클린 설치
  2. 시스템폰트 변경
  3. 한영변환을 위한 바랍입력기
  4. VMWare의 Windows문서함과 맥의 문서함 같이 쓰도록 설정
  5. 동영상 플레이어 환경 설정
  6. System Preference 프로그램들
  7. 메뉴 프로그램들

OSX LION 클린 설치

현재 별도로 LION 설치 USB를 가지고 있지 않는 이상은,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야하는데, 이 방법은 시간이 좀 오래 걸립니다. 필자가 가지고 있는 설치/비상용 USB외장하드에 Mac OS X Lion 부팅 DVD 만들기 를 참고로 하여 부팅USB외장하드를 만들어 설치하였습니다.  이렇게 설치하면 약 20-30분 내외로 OSX LION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Lion 클린 설치

시스템폰트 변경

LION 부터는 네이버의 “나눔” 계열 폰트가 기본으로 설치되어있습니다. 시스템 기본 폰트인 “애플고딕”을 나눔폰트로 매우 쉽게 변경하였습니다.

옛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함초롬체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익숙한 나눔폰트를 사용하였습니다.

방법 :  https://gist.github.com/1099302 에서 다운로드를 하여 압축을 풀어 바로 실행하여 아래와 같이 선택 값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Systemfont02

이후 재부팅하면 시스템폰트가 간결한 “나눔고딕”으로 바뀌어서 보일것입니다.

출처 : jetj님 – http://www.appleforum.com/531834-post29.html

한영변환을 위한 바랍입력기

LION에서 추가된 미션컨트롤에 의해서, 윈도우를 위한 환경은 VMWare 에서 풀스크린으로 사용합니다. 네손가락으로 쓱삭 움직이면 단번에 화면 전환이 되어서 편리해 졌습니다. 이렇게 하면 OSX 사용 환경 구애됨 없이 M$ 환경에서의 M$ Office나 Active-X 기반의 웹서비스들을 무난히 이용할 수 있습니다. VM환경이기 때문에 OSX와의 자료 공유 및 백업이 용이합니다.

이때 가장 헛갈릴 수 있는데 한/영변환 환경인데, 제 경우는 Mac 및 Win 공히 [Shift]+[Space]를 이용하여 바꿉니다. 이를 위해 몇가지 작업을 해주어야 합니다. 다음으로 윈도우에서의 내문서함/다운로드 같은 환경을 Mac의 문서함/다운로드와 맞추는 작업입니다.

설치방법 :

1. http://baram.or.kr/ 에서 1.5.2 안정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1.6b8은 64bit이긴 하나 불안정하니 사용하지 마세요)

2. System Preferences > Universal Access 에서 “Enable access for assistive devices”를 V 체크

3. Language & Text > “Input Sources”탭에서 ” 바람입력기 선택 및 다른 Hangul/USA입력기 V 체크 해제

Input source

4. 바람입력기 환경설정창에서 한영/한자변환 및 VMWare 리맵퍼 설정 입력

Baram01

아울러 VMWare 같은 가상VM 환경에서 M$ Windows의 한영변환을 똑같이 Shift+Space 로 변경하고 싶다면 아래 설정값을 확인한다.

Baram02

VMWare의 Windows문서함과 맥의 문서함 같이 쓰도록 설정

저는 VMWare/Windows를 M$오피스 혹은 아래아한글 문서를 다룰 때 사용합니다.  Windows에서의 작업을 아래와 같이 “Sharing” 옵션에서 등록을 하게되면 Windows Z: 드라이브에 해당 폴더에 읽고/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Windows/Mac의 자료를 바로바로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습니다.

HWP 파일의 경우 맥에서도 한컴오피스 한워드 뷰어가 Mac 앱스토어에 무료로 받을 수 있어서 간단한 열람 및 PDF 변환까지는 맥에서 가능합니다.  M$오피스문서는 iWork로 열람이 가능합니다.

Baram03

동영상 플레이어 환경 설정

동영상 플레이어는 Movist,  곰플레이어 for Mac 둘 다 설치했습니다. 기본 퀵타임 플레이어는 네트워크 환경의 동영상 열람의 경우 랙이 생기는 경우가 잦아  Movist의 모든 코덱을 FFmpeg로 변경하니 쾌적하게 잘 시청할 수 있었습니다.

Movist

System Preference 프로그램들

Screen Shot 2011 08 21 at 11 51 32 PM

제가 설치한 시스템환경 설정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습니다. LION에서도 잘 동작합니다.

메뉴 프로그램들

Screen Shot 2011 08 21 at 11 59 10 PM

좌측부터 설명드릴께요.

이정도가 LION 클린 인스톨한 후에 조정해준 정도네요.

라이온의 새로운 미션컨트롤, 전체화면, 문서버전 자동저장 및 재부팅/로그오프 등에서의 Resume, 또한 현재 화면이외의 백그라운드로 다른 계정 리모트 접속 가능, Server 기능 등등 정말 풍부해지고, 작업 생산성을 위한 편리함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많은 분들이 LION의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 잘 활용했으면 좋겠습니다. Lion 의 새로운 기능 및 개선 기능 정리 참고하시구요.  가을 출시될 iCloud 와의 Mac의 연동이 기다려집니다.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12개의 답글 to “LION 설치 후 한국/한글형 기본 설치 앱 및 환경 설정 정보”

  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_

  2. 저는 시스템 폰트 변경 스크립트의 압축을 풀어 실행하면 권한이 없다고 나오고
    실행이 안되네요.
    스크립트를 파인더에서 더블클릭해서 실행했는데 그러면 되는건가요?
    아니면 터미널에서 실행해야 하나요? ㅜ.ㅡ
    맥 초보라…
    혹시 터미널 명령어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파인더에서 더블클릭해서 실행 후 터미널에서 패스워드 물어볼텐데요..? 디스크유틸리티의 권한 복구를 먼저 돌려보세요. 아님 파인더에서 속성을 열어 모두 실행으로 변경한 후 해보세요.

  3. 나눔 폰트가 정말 설치되나요? 제 라이온 설치 파일 중에는 없습니다만.

    제가 듣기로는 라이온 베타버전에는 있었는데 최종 출시버전에는 빠졌다고 하던데요.

    • Lion 정식 버전에 들어가있습니다. 이번에 App Store에서 Lion 받아 USB로 구운 후 새로 설치하면서 (별다른 나눔폰트 새로 설치없이) 했던 작업들이에요.

  4. 늘 좋은 글을 써주시는군요. 항상 도움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Transmit의 디스크 기능은 Netdrive 같은 마운팅 기능을 말하는 것 같군요. 덕택에 더 이상 고민없이 Lion으로 옮길 수 잇을 것 같습니다.

  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6. 아주감사합니다. 근데 패럴 윈도우에서는 바람입력기에서 지정된 키로 한영변환이 잘 되는데, 맥환경에서는 영어→한글→영어 그 다음엔 지정키를 눌러도 변환이 안되요 ㅠㅠ 상단 상태바에 나온대로 영어는 컨트롤+시프트+u, 한글은 컨트롤+시프트+I 를 눌러야 계속쓰도 변환이 됩니다.

  7.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8. 맥은 초보인데, NetDrive 같은 프로그램 찾다가 들어와 보니, Skitch – 며칠전 에버노트 사용자 컨퍼런스에서 본 기억이 있어서 – 설치하고, 댓글로 감사의 글을 남기려다 보니, 마침 김태영 소장님(!) 블로그네요.
    잘 보았습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9. 저 맥완전 초본데요 동영상 자막파일이 어떤건 안나와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리고 OS X Mountain Lion 한달안에 구입한사람은 무료다운로드라는데
    이거 돈내고 다운받아야하는지…다운받음 뭐가좋은지…한글인데도 알기가 어렵네요
    컴맹이라서..알려주세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