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사 PM분들을 대상으로 “정조, 조선 개혁을 향한 프로젝트 리더쉽”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하였습니다. 정조의 수원 화성은 200년전 조선의 프로젝트 관리 기법의 정수를 보여주는 소중한 문화 유적 자산입니다. 우리 선인의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관리 기법을 보여줍니다.
- 수원 화성은UNESCO 1997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화성은 조선 정조시대 정약용이 동서양의 기술서를 참고하여 만든 <성화주략(1793년)>을 지침서를 정조의 승인을 받아 “어제성화주략”화되어 재상을 지낸 채제공의 총괄 및 화성 축성 공사책임은 감동당상(PM) 조심태의 책임하 실제 28개월 만에 완공했습니다.
- <화성성역의궤>는 화성 축성의 공사 일정, 공사에 종사한 감독관의 인적사항, 그리고 그림을 곁들인 각 건물에 대한 설명과 자재 운반용 기구, 건물의 세부 설명글이 들어 있습니다. 의궤에는 공사 수행 중 오간 공문서와 왕의 명령, 상량식 등 의식, 그리고 공사에 참여한 장인의 이름과 각 건물별로 소요된 자재의 내용과 수량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을 뿐 아니라 전체 공사비용의 수입과 지출 내역도 꼼꼼히 수록되어 있습니다. 2007년 UNESCO의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록 되었습니다. 200년전에 남아있는 공사계획/공사완료보고서로는 본 문서가 세계에서 유일합니다.
- 화성 프로젝트는 PMBOK 42개 프로세스 중 통합,범위,원가,품질,HR,소통,리스크,조달에 이르는 대부분의 프로세스를 지키고 있음을 기록으로 보여줍니다.이는 200년전의 세계 어느 유적도 이러한 기록 문서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 Critical Path 분석과 Fast Track 기법을 이용하여 당초 10년 계획을 28개월 만에 완공시킨거였습니다. 또한 Parametric Estimation/모수기법을 사용하여 일정/예산 수립의 정확성을 높였습니다.
- 거중기, 녹로, 유형거, 동차 등 직접 실학파 정약용이 직접 설계한 공사 도구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거중기로는 당시의 공기 단축은 물론 인건비 절감으로 약 4만냥의 경비를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 부역이 아닌 실적제 인건비 지급방식이 시행되었으며, 20여개의 직무별 인건비가 차등화되어 지급되었습니다. 이러한 관리는 반나절 기준으로 기록되어 일반직인 5일단위, 임시직은 일일단위로 인건비가 지급되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 최초로 실명제와 인센티브 및 여름에상벌제도에 의해 품질을 높였습니다.
수원화성의 프로젝트와 이것을 진행할 수 밖에 없었던 시대적 상황, 아울러 영조-정조-실학파-정약용-채재봉-조심태-노론-소론-남인 등 알면 알수록 점점 더 매력에 빠져드는 것 같습니다.
강의 순서는 아래와 같이 진행하였습니다. 90여장의 PT 중 핵심적인 몇가지만 공유합니다.
1부는 화성 및 화성성역의궤에 대한 개요와, 정조의 소년/청년 및 왕위 시절에 대한 이야기를 노론 벽파의 갈등 대립과 연계하여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원 화성을 통해 조선의 개혁을 이루고자 했던 배경 등을 설명하였습니다.
2부 에서는 수원 화성 프로젝트의 주역인 채재공, 정약용, 조심태의 간단한 캐릭터 배경을 설명하고, PMBOK의 9가지 지식영역 하나하나 비교 설명을 하였습니다. 200년전의 정조가 내려주는 프로젝트 정책/지침에 의해서 채재공과 조심태가 철저한 관리 기술을 부려, 20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프로젝트 관리 분야나 건설 관리 분야에 계신 분들은 놀랄 정도로 정교하게 관리되었음을 보여주는 항목입니다.
3부는 정조의 프로젝트 리더쉽 분야입니다. 리더쉽은 지식체계만 가지고 되는 것이 아닌 온 힘을 다해 목표에 달성하고자 하는 열망과 지혜는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온유한 때론 강건한 카리스마입니다. 정조대왕 및 조심태는 상벌에 대해 철저하신 분들이었습니다.
맨마지막으로 착수 > 기획 > 실행 > 감시 및 통제 > 종료 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를 체계적으로 거친 정조의 조선개혁 프로젝트는 정약용의 3년에 걸친 화성 설계, 정조의 프로젝트 정책 하달, 조심태의 엄격한 감시 통제 및 성과급/상벌제도/인본주의/리더쉽 및 당시의 실학파의 실용기술과 어우러져 현존 유일한 세계 최고의 화성/화성성역의궤를 완료시킵니다. 이는 정조의 열린 대화 및 소통의 영향이 큽니다.
이후 토론 과제를 두어 당시 조선의 노론/벽파와의 당쟁(문제)에 따른 조선 개혁(해결책)으로 수원화성을 기획/진행했듯이, 회사의 프로젝트 관리 환경에서의 문제/해결책을 토론해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일방적인 강의보다는 토론식 대화를 통해 스스로 문제를 도출하고 컨센세스를 맞춰 추진하는 모양새가 정조/정약용/채재공/조심태가 펼쳤던 진행방식이었기 때문입니다.
보통 우리나라는 이것밖에 안되라는 자기 비하적인 발언을 많이합니다. 이는 “조센징은 이것 밖에 안되”와 동일한 일제치하의 굴욕적인 모독과 동일한 발언입니다. 500년전의 조선시대의 역사의 기록으로 부터 우리나라 선인들의 우수한 문화 , 실용 정신은 물론 리더쉽, 프로젝트 기술까지도 문헌으로 남아 있으며, 정조의 수원 화성/화성성역의궤가 이에 대한 정수입니다. 이 또한 동일 시대에 전세계 적으로 남이있는 유일한 프로젝트 기록 산물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으로써 자긍심을 가지고 프로젝트 프로세스 / 지식체계의 기교를 부리시기 바랍니다. 표준 지식체계가 없으시면 미국 ANSI 표준인 PMBOK을 기준으로 하시는 것이 향후 글로벌 프로젝트 추진시에도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당 발표를 위해 약 400여 인터넷/DVD/박물관자료/논문을 참고했습니다. 이 중 핵심적으로 도움을 받았던 문헌을 공유합니다.
- Finding the Future of Project Management from Hwaseong Fortress Project, Young Min Park, PMP
- 2008프로젝트관리지식체계 지침서 (PMBOK 지침서) 4판, PMI
- Hwaseong Fortress, Wikipedia
- Hwaseong Fortress/수원화성DVD, RMJC, 2000
- 알기쉬운 화성이야기,수원화성박물관, 2011
- 18세기『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에 나타난 조선의 사회상, 李永鶴, 2011
- 아름다운 수원화성, 최준식, 2010화성건설공사에서 자재의 조달방법 연구, 김균태, 2009
- 화성 성역 물자 조달방법(華城 城役 物資 調達方法)에 관한 연구, 최종현, 2009
- 팔달문 건설의 소요자원 산정을 위한 화성성역의궤 분석, 김균태, 2009
- 조선시대 화성성역의궤의 건설관리적 의미, 김균태, 2008
- 조선시대 화성성역의 공정관리 사례분석, 김균태, 2008
- 김준혁의 화성이야기, 경기일보, 2006
- 유럽 군사사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야전에서의 삼수병 운용, 디펜스코리아, 2006
- 화성, 어떻게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을까?, 오마이뉴스, 20060619
- 정조의 화성 경영 연구, 일지사/최홍규, 2005
- 정조의 화성 건설, 일지사/최홍규, 2001
- 18세기 수원성 축성에 사용된 자재 운반기구에 대해서, 김동욱, 1994
허위보고 = 군법에 첨부된
윤봉길 의사의 사형직전으로 추정되는 사진은
적절해보이지 않습니다.
정확한 지적이십니다. 조선시대 군법이 결국 사형이라는 의미로 사진을 찾다보니, 윤봉길 선생님의 사진을 사용했습니다. 강렬한 사진을 찾다보니… 윤봉길 선생님께 누가 되어버렸네요. 강의 자료 및 블로그 사진을 교체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