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2011 춘계 학술대회 – 국가 신성장동력과 프로젝트 경영의 역할

국내 프로젝트경영 관련 교수님들이 모여 설립한 프로젝트경영학회의 2011년 춘계학술대회가 “국가 신성장동력과 프로젝트 경영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6.10일 서울대학교 경영관에서 열렸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개회사

김수욱 학술위원장(서울대 경영)의 소개로 유영상 고문(서울대)의 축사와 강창욱 회장(한양대 산업경영)의 개회사가 있었습니다.

이후 PMI 이사인 Dr. William Moylan 과 PMI한국챕터 박영민 회장님이 KSPM/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강창욱 회장님께 PMBOK 한글본의 50권 증정식이 있었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초청강연#1 : 국가 신성장동력을 위한 프로젝트 역량의 필요성 (기술표준원 허경 원장)

기술표준원 허경 원장님을 보시고 “국가 신성장동력을 위한 프로젝트 역량의 필요성”이라는 주제 발표가 있었습니다. 17개 신성장동력을 녹색기술산업, 첨단융합산업, 고부가서비스산업으로 구분하여 62개 스타브랜드에 대한 설명과, 이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프로젝트경영이 필요하다는 논지였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초청강연#2 : The Project Management Education : Opportunity for Business and Technical Schools (Dr. William Moylan)

PMI 이사인 Dr. William Moylan 박사의 The Project Management Education : Opportunity for Business and Technical Schools 라는 주제 발표가 아래와 같은 골자로 진행하였습니다.

 

전 세계 각 나라에서 수천조 이상의 프로젝트가 이뤄지고 있으며, 이의 성공을 위한 기술의 대부분이 프로젝트경영/관리 기법이다. 이를 위해 각 대학에서도 프로젝트경영 관련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있으며, PMI는 이의 교육품질관리를 위해 REP 및 GAC를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PMI는 이의 교육 품질 확대 및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확장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술이고 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정책토론회

110610-KSPM-Conference

 

KSPM 강창욱 회장의 좌장역할로 전세계 및 한국의 PM 산업의 정책을 훑을 수 있는 정책토론회가 1시간여 진행되었습니다.

  • 라장원교수(전 알래스카주립대학 교수) : 미래의 프로젝트 경영 교육
  • 박영민회장(PMI한국챕터) : 세계 각국의 PM 경쟁력
  • 이동희 중령(방위사업청) : ISO21500과 PMBOK 차이
  • 백동현 교수(한양대) :  정부의 역할
  • 정재익 대표 (스탠다드앤컴퍼니) : 공공기관의 프로젝트 경영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 장경수 이사(KPMA) : 한국PM협회의 20년 연혁 및 소개

의 주제로 각 실무 책임자 분들의 현황을 설명해주셨습니다.   짧은 시간 동안에  핵심적인 내용과 현안을  설명을 해주어 PM 산업 현황을 파악하는 좋은 시간이었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프로젝트PMO

김덕수 고문을 좌장으로 하여 아래와 같은 세개의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1. 디지털 에이전시에서 PMO 적용 모델 연구 (한양대 추인호)
  2. 프로젝트 원가와 기간 산정을 위한 Central Limit Theorem 적용  (알래스카주립대/한양대 김기평 교수)
  3. 조직의 유연성과 통제의 균형을 위한 PMO 활용에 관한 연구 (고려대 구희연)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추인호님의 PMO 적용모델에서는 PMO의 사전적정의를 바탕으로 디지털 에이전시에 맞는 계층모델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김기평 교수님은 불명확한 범위 정의는 프로젝트를 불확실하게 하는 주범이니, WBS를 잘게 나누면 나누어 3점 척도를 잘 활용하면 원가선정의 신뢰도가 높아짐을 직접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보여주었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구희연님은 PMO 운영 효과가 원활한 의사소통보다는 프로젝트의 모니터링 및 통제를 통해 좋은 품질의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국내 아직까지 활성화 되지 않은 PMO 체계에 관한 연구 기법 및 프로젝트 일정의 초기 및 후기의 여유를 가지고 위한 Central Limit 기법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국내PMO를 검토하고 있는 기업이 있다면, 이의 자료를 꼭 한번 참고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자료는 KSPM 사무국에 연락을 취하시기 바랍니다.)

 

 

 

프로젝트관리기법

라장원 고문을 좌장으로 아래와 같은 4개의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1. 타임시트를 활용한 활동 기준 일정관리 기법에 대한 연구 (한양대 백훈성)
  2. 애자일 기법이 대학 ERP 프로젝트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양대 유희경)
  3. 프로젝트 일정 관리를 위한 일정관리 도구와 기법에 관한 연구 (한양대 박지영)
  4. 신차 개발 프로젝트에서의 공급자 선정 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 홍성민)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백훈성님은 타임시트는 WBS/Work Package 기반으로 시스템으로 Cost-code와 Activity-code가 일치하여야 한다는 점과, 이는 ERP 와도 연동이 되어야 WBS/EVM 기반으로 추적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한양대 유희경님이 발표한 애자일에 대해서 국내 대학 ERP 시스템 도입시 애자일을 사용하니 효과가 있었으며, 각 대학 기관 ERP / IT 담당자의 설문을 통해 그 효용성을 입증한 논문이 참 유용했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박지영님은 국내의 일정관리 성숙에 대한 설문을 바탕으로, 아직까지 66%나 엑셀등의 오피스류로 일정관리를 하기에 이의 성숙도가 떨어지며, 간단히라도 Risk를 포함한 일정관리를 위해 MS-Project 도구라도 써야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또한 한양대 홍성민님의 Procurement 선정 기준을 위해 해외 각 이론들의 비교 분석, 이를 종합하여 계층모델설계, 아울러 국내의 구매부서가 너무 가격만 중요시하여 산업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하며, 해외 업체와 같이  비즈니스와 기술력, 서비스 적인 측면도 중요시해야한 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110610-KSPM-Conference

 

끝으로

금번 KSPM에서의 학술대회는 국내 프로젝트 경영 관련 대학에서 학술 논문을 주축으로하여, 정부 및 협회 연계 프로그램이라는 측면에서 국내 PM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작년 12월 출범이후의 첫 학술대회였고, 매년 봄/가을에 연다고 하니, 학술 연구 결과의 발표로 정부와 산업계에 좋은 영향을 끼쳐, 국내 PM산업 활성화 기여를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다시 한번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KSPM의 출범과 학술대회의 노고에 아낌없는 박수와 지지를 보냅니다.

 

 

 

 

 

Peter Kim에 대하여

Peter Kim(김태영) PMP, Certified SAFe 5 Scrum Master (SSM), Certified ScrumMaster® (CSM®), Project Research Inc., CEO / Founder, +82-10-9344-7505

2개의 답글 to “한국프로젝트경영학회 2011 춘계 학술대회 – 국가 신성장동력과 프로젝트 경영의 역할”

  1.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에서 PM공부를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위 내용을 과 전공동아리 홈페이지에 옮겨서 게시해도 될까요??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