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MA에서 Applications and Trends of EVM in US Government 이라는 주제로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프로젝트경영학 곽영훈 교수님을 모시고 세미나 참관기를 공유합니다.
최근에는 사회간접투자기반 프로젝트(SOC) 등 메가 프로젝트의 PM 적용을 통해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매니지먼트를 정부 공공프로젝트의 효율성 확보 측면에서 적용하는 것을 연구하고 있는데, 미국 정부의 많은 일들이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추진되고 있어 그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2009년에 나온 세계은행 자료를 보면 전세계 GDP(48조 달러)의 약 22%가 총 고정자본형성 (GFCP: Gross Fixed Capital Formation) 즉, 민간부문은 개인과 기업의 주택 및 설비, 정부부문은 정부주택, 도로, 철도, 항만, 청사건설 등에 투자되었습니다.
다시 말해 건설, 엔지니어링, 사회간접자본만 계산하더라도 세계경제활동의 평균 20% (개발국가 30%, 인도34%, 중국45%)가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요즘 거의 모든 분야에서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비즈니스가 운영된다고 할 때,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첨단 프로젝트경영 기법의 적용은 세계 경제의 가치 창조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 연방정부 중 NASA와 FAA의 프로젝트의 PM 적용 사례 중 EVM 적용 현황을 소개하였습니다.
EVM 개요
우선 EVM의 간단한 소개로 시작합니다. 범위, 일정, 자원 및 성과측정을 위한 도구이며 1960년대 미 DoD에서 C/SCSC (Cost/Schedule Control System Criteria) 항목으로 시작되었습니다. PMBOK에도 언급되며, EVM의 핵심 지표인 PV, AC, EV, BAC, CV, SV, CPI, SPI의 공식을 요약하였습니다.
미 정부 PM 분야 2007 예산 및 2008 분석의 리포트를 요약주셨습니다.
2008년에 65조 규모의 840개 주요 IT 프로젝트가 US 정부 IT 포트폴리오로 추진되었다. 이중 365개/27조에 해당하는 IT 투자가 계획되로 이뤄지지 못했고, 약 10조 규모의 투자가 요주의 리스트로 관리되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1) 성과측정 방식 및 (2) EVM (Enarned Value Management) 의 도입이 필요하다.
아울러 1967년 부터 미 국방성/DoD에서 태동한 C/SCSC 가 EVM은 2000년 PMI에 EVM 용어가 간략히 소개되었고, 2005년 PMI의 EVM 실무 규정집이 출간되었다고 합니다.
아울러 ANSI/EIA EVMS 가이드에 조직, 계획/예산, 비용/정산, 측정, 갱신과 데이터 관리 5개 분야에서 32개 영역의 EVM 수행 체크리스트가 있고, 이를 바탕으로 연방정부의 대규모 프로젝트의 감리가 (1) 정부 프로젝트를 EVM 기법에 의해 성과 보고 되는지 (2) 이러한 EVM 기법으로 비용,일정 및 성과지수가 10% 이내로 관리되는지가 주요 Policy라고 합니다.
NASA 프로젝트 관리 사례
NASA는 흔히 일반인에게 알려져있는 우주 연구 혹은 우주 왕복선 사업만 하는 것이 아닌 ▲ Science, ▲Aeronautics and Research/Technology, ▲Exploration, ▲Space Operations, ▲Educations 으로 크게 움직인다고 합니다. 2010년도 1년 예산이 18조 정도이며, NASA Policy Directive (NPD) 9501.3에 의해 1997년 2월 부터는 NASA의 계약자까지 EVM으로 관리를 해야한다고 합니다. 보통 500억이 넘는 프로젝트는 EVMS가 필수 적용 요소이고, 200억에서 500억 사이는 ANSI/EIA-748 항목의 적용하거나 선택적으르로 EVM 을 적용한다고 합니다.
NASA는 이러한 EVM을 적용한 프로젝트 관리 기법(리더쉽,일정,EVM,데이터분석)의 교육에 신경을 많이쓰고 있으며, 2010년 최근에 발행한 “EVM 적용 핸드북”에도 이러한 기법 매뉴얼이 기술되어 있다고 합니다.
1단계 : NASA의 Integrated Baseline Review (IBR)을 통해 기술적/오너쉽/책임소재를 정합니다.
2단계 : Schedule Health Assessment 을 위해 일정리뷰, 일정의 정합성, 측정방법을 정합니다.
3단계 :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으로 계획/실행/성과 자료를 EVMS에 저장시킵니다.
4단계 : Automated Data Analysis 에 의해 데이터가 자동으로 수집되고 식별될어 표준 리포트를 만들어줍니다.
5단계 : Organizational Investiture 에서 의사/정보교환이 이뤄지며 조직의 성숙성이 완료된다고 합니다.
Best 사례가 NASA의 JPL 이라는 부설연구소의 EVM을 적용한 3단계 전략, 적용 사례, 8가지 교훈 및 적용을 위한 Critical Success Factor를 설명해 주었습니다.
이어 A-12 Avenger II 프로젝트가 18년동안 5차례의 시험 비행을 진행을 3조 정도의 비용 집행을 통해 진행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EVM 분석 기법에 의해 중간 종결 시켜버린 이유와, 해군에서 F/A-18E/F Super Hornet이 성공적으로 EVM을 적용시켜 예산과 비용 범위 안에서 프로젝트가 종료되었으나, 2000년 이후 프로젝트는 리더교체/보고체계 교체/EVM기법 확산 미흡 등의 사유로 프로젝트 실패율이 높아진다는 사례를 들었습니다.
미국 연방 항공국 FAA 사례
미국 연방 항공국 FAA는 1903년에 설립되어 현재 가장 안정한 시스템으로 평가 , 2010년 16조원 예산 집행, 4만5천명의 임직원, 2만개의 공항, 연간 8천만명 승객 처리 (08년), 60만 파일럿 관리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합니다. ( http://fast.faa.gov/ 에 FAA 운영 관련 문서 세트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
FAA도 2005년에는 집중 관리 대상 기관이었으며, 이후 EVM 체계로 집중적으로 관리하여 2009년에는 집중 관리 대상에서 졸업을 하고, 이후 더욱 개발하여 자체 관리 체계가 수행되는 과정이라고 설명합니다.
아래 3개의 비교 (2005년, 2007년, 그리고 지금)의 점검 표에서 보듯이 각 프로그램/프로젝트별 EVM 5개 구분, 32개 점검 항목의 지표가 빨간색에서 녹색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리 기법 향상을 우해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수행했던 프로젝트 관리 기법을 설명해주었습니다.
최고 운영 자의 관심과 지원으로 EVM을 끝까지 밀어붙일 수 있었다는 점과 ANSI/EIA 748 문서를 기준으로 하여 명확하게 EVM 수행 점검표를 바탕으로 테일러한 EVM을 도입한 것이 FAA EVM 프로젝트 관리 기법의 핵심을 바탕으로 Stakeholder의 관심을 이끌어 내고, 도출된 EVM 문제점들을 하나하나 제거해 나가면서 꾸준히 프로세스 개선에 노력하여 오늘의 모범 사례가 되었다고 합니다.
마무리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한 교훈은
1) 개략적인 사항과 상세적인 사항의 조합이 잘 맞아야 한다는 것
2) 스탭 및 계약자가 이러한 프로젝트 관리 기간동안 계속 참여해야한다.
3) 변화를 위한 (표준 지침서의 준수라는) 꾸준한 압박
4) 프로그램 관리 기법에는 EVM이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5) 상위 관리자의 꾸준한 교육과 실무 적용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6) 표준화된 도구/데이터/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이는 프로그램 팀들에게 수용이 되어야 한다.
7) 성과측정 맥트릭스의 투명한 공개 / 공유가 중요함
8) 외부전문가/자문단이 최고의 조언/조력자가 될 수 있다는 점
점 등등이 이번 연구의 성과였다고 하며 마무리를 해주었다.
아울러 대형 프로젝트 실패사례의 예를 5-6가지 보여주시면서, 체계화된 프로젝트 관리 기법이 필수이며 대규모 프로그램/프로젝트 관리에서는 EVM 기법이 매우 중요한 성공 요소라고 언급해주셨다.
곽영훈 교수님은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에서 종신 교수 대우를 받으시는매우 노력파이시라는게 느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 UC Berkeley, Engineering & Project Management 공학박사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ASCE) 부편집위원장 (現)
○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Elsevier) 편집위원 (現)
○ Project Management Journal(Wiley) 편집위원(現)
○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ing Projects in Business(Emerald) 편집위원 (現)
○ IPA Institute 방문학자, FIU 공대 조교수, MIT 연구원 (前)
곽영훈 교수님과 기념으로.. 좌측 부터 필자, 곽영훈 교수님, 박형기 KPMA 총괄부장..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