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Cafe에서 알래스카주립대 김기평 조교(PMI-SP, PMP, MCTS, CAPM)를 모시고 MS Project 2010 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2008년 12월 PMI SP 및 MS Project 기반의 일정관리를 주제로 세미나를 해주셨고, 이번에는 MS Project 2010을 이용한 알래스카의 정유회사 프로젝트를 예제로하여 약식 WBS를 기반으로 프로젝트의 계획 수립에서 실행/통제에 까지 모의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MS Project의 유용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큰 전개는 다음과 같다.
1) 정유회사 프로젝트 개요 소개
2) 범위/Scope 개발로 WBS 도출
3) WBS 기간 및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확인
4) 리소스 정의, 할당 및 리소스 레벨링
5) Baseline 확정 및 EVM을 통한 통제 기법
6) 부록으로 몬테카를로 기법을 이용한 프로젝트 기간 산정 방법
1. 정유회사 프로젝트 개요 소개
알래스카에는 세계적인 정유회사 4개 중 2개가 있으며, 혹한기 영하 50도에 이르는 혹독한 기상 조건으로 프로젝트가 원활치 않다는 것과, 정유 시추와 운반 프로젝트로 1300km 길이의 정유 파이프라인이 있다고 한다. 세미나에 진행하는 WBS의 기초자료는 정유사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약식으로 진행하였다.
2. 범위/Scope 개발로 WBS 도출
WBS Chart Pro SW를 이용해서 아주 쉽게 WBS를 단계별로 그릴 수 있었고, 버튼 하나로 MS Project로 바로 Export 시키는 데모를 보였다.
3. WBS 기간 및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확인
미 국방성 DOD 의 경우 Slack 을 포함한 전체적인 관계를 일목요연하게 보기 위해 Network Diagram을 매우 중요시 여긴다고 한다. PMBOK의 예시와 MS Project를 통해 매우 쉽고 빠르게 그리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다양한 옵션 변경을 통해 Layout 및 Network Activity의 표시항목을 조정할 수 있었다.
앞서 도출된 WBS를 기반으로 Activity > 단위일정 정의 > 선후행관계 및 카테고리 그룹화하여 단계별 구분으로, 임원에게 보고할 마일스톤 Viewer 및 상세WBS Viewer를 바로 도출하는 시연을 보였다. 또한 2주에 한번 있는 정기 회의를 MS Project에서 구현하기 위한 방법도 설명하였다.
4. 리소스 정의, 할당 및 리소스 레벨링
기본적인 투입 리소스에 일반비용, Overtime 비용, 사용비용에 대한 정의를 하고 휴가 및 프로젝트 기간 중 연봉(임금)인상이 발생했을 경우 적용하는 시연을 보였다.
WBS의 각 Activity에 리소스를 배분하여 리소스 현황을 보면, 일반 파란색 대비 붉은색으로 과도한 업무로 조정이 필요한 리소스를 알려주고, 레벨링 옵션 정의 및 실행을 통해 리소스레벨링이 자동으로 되는 시연을 보였다.
5. Baseline 확정 및 EVM을 통한 통제 기법
이렇게 계획단계에서 도출된 단위업무, 연관성, 단위 기간 산정, 자원계획 및 분배/레벨링, 일정개발의 계획 단계를 지나 실행 단계에서는 실제 프로젝트 정보 변경, 시작/종료일, 진행율, 원가 및 EV, SPI, CPI, VAC 등을 측정함으로써 프로젝트의 on-going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프로젝트의 통제는 EVM (Earned Value Management)의 관리 기법이 중요하고, 이를 MS Project에서 도출하는 방법을 데모하였다.
실제 MS Project에서 컬럼 추가를 통해 CPI (Cost Performance Index), SPI (Schedule Performance Index)를 확인하는 방법과, 각 주 단위로 계획대비 실적 및 획득가치를 기반으로 프로젝트가 Baseline을 지키고 있는지, 차이가 난다면 프로젝트 완수를 위해 가감되는 비용/일정은 어떤지를 추적하는 방법에 대해 MS Project와 Excel로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퀴즈로 SPI, CPI의 상관관계의 예시를 보여주고 A,B,C,D 프로젝트 중에 어떤 프로젝트가 가장 우수하게 진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인지 물었다. (고민해보시길…^^)
6. 부록으로 몬테카를로 기법을 이용한 프로젝트 기간 산정 방법
번외 사항이긴 한데 전통적인 Delphi나 Parametric 방법으로 산정하는 기간을 몬테카를로 기법을 사용하면 보다 통계적인 방법으로 일정을 산정할 수 있다고 하고 Palisade사의 @Risk라를 제품(엑셀 Addon)으로 일정 산정 시연을 보였다.
몬테카를로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 각 Activity별로 최단/일반/최장 기간을 기재해 두어야 한다.
이렇게 도출된 최단/일반/최장은 다양한 옵션에 의해서 예상 일정이 표시되며..
이러한 예상 일정을 수천-수만번 반복하여 확율적으로 접근한다. 예로 전체 일정 준수 가능성이 80%가 되게하려면 일정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도출할 수 있음. 몬테카를로 기법은 2007년 PMPCafe 세미나였던 성공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확률론적 리스크 분석 및 의사결정 – 몬테카를로 기법 참고하세요.
김기평 팀장님의 압축 요약 강의는 이번에도 2시간에 MS Project의 실제 정유사 사례를 바탕으로 핵심적인 기능인 범위, 일정, 비용의 계획, baseline설정 및 이에 대한 통제/모니터링 기법에 대한 핵심 사항의 활용 방법을 시연해준 매우 유용한 세미나였다. 열정적인 강의를 해주심 김기평 팀장님과 행사 주관을 진행해준 한동환 대표님께 감사드린다. ^^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