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PCafe에서 국내 1호이자 유일한 PgMP (Program Management Professional)인 백광구 선배님을 모시고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강의를 고유하고자 한다.
(3시간여 정리한 글을 실수로 순식간에 다 날리고… 초간단 요약식으로 작성한다. OTL ㅜㅜ)
1) 본인/회사 소개
백광구 선배님은 세계3대 인명사전(Who’s Who, ABI, IBC)중의 하나인 ABI의 The Great Minds of 21st Century(21세기 위대한 지성) 2009년판(4th Ed.)에 등재되었고, PMI 의 PMP,PgMP 문제출제 위원 및 Panel Review 위원으로 활동하고 계시다.
2) The Standard for Program Management
2-1) Framework ( 4 ~ 24 page) 요약
Project > Program > Portfolio Management의 흐름 및 중요한 사항 언급하였다.
Pre-Program > Initiation > Setup > Delivery(Benefit) > Close 각 단계별 마다
Gateway(G1~G4) 절차를 두어 프로그램의 단계별 Review를 할 수 있는 절차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였다.
2-2) Process (25~40 page) : 생략 – PT 원문 참조
2-3) Knowledge Area (41 ~ 60 page) –
Integration, Scope, Time, Communication, Risk, Procurement에 대해 언급하면서 특이한 점으로 Cost, Quality, HR 부분은 PMBOK을 참조하는 정도로만 언급되었다고 하였다.
Financial, Stakeholder, Governance 부분이 PMBOK과 많이 틀리다고 하면서 자세히 설명해 주셨다.
또한 RISK의 다양한 레벨에 대해서 강조하였는데 슬라이드 장표를 참조
3) PgMP 자격증 및 절차 소개 : PT 발표본 참조
출석체크 Rich 및 Program Management 책과 대조하면서 세미나를 듣고 있는 David.
David의 세미나 정리/Wrap-up
PgMP에 대한 문의 사항은 백광구 선배님께 직접 메일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3시간여 나름 꼼꼼하게 정리한 자료를 다 날리고, 초간단 요약식으로 작성한 사항을 널리 이해해 주세요.
참조 :
#01 – PT 발표본 : http://www.flickr.com/photos/tykim21/sets/72157621961404039/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