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정보통신 및 PMI 한국챕터가 주관하는 “The Value of Project Management to Organizations” 세미나를 참관했다.
두시간에 걸쳐 환영사 > PMI한국챕터 발기 설명회 (박영민 회장) > PMBOK 4차 한글판 번역검수위원회 감사장 수여 > “The Value of Project Management to Organizations” ( Steve Fahrenkrog, PMI VP)의 순으로 이뤄졌다.
세미나의 시작은 경영 환경 변화를 먼저 이야기 해주었다. 매년 120억$ 규모의 10억개 프로젝트가 전사업분야 전세계적으로 수행되고 있고, 2천만명 규모의 프로젝트 진행 인력이 있으며, 25% 정도가 Global 제품이라고 볼 수 있는 환경에 살고 있다. 3년(2005-2008)동안 전세계 60개 회사/ 500명의 인터뷰를 통한 Research 결과 (“The Value of Project Management”를 알려줬는데 결론은 아래와 같다.
Summary
1) PM은 조직에 알맞게 구성되어야 하며 ▲ 조직 전략, ▲ 조직 문화, ▲경제 환경를 이해하고 / 때론 정의해야 한다.
– 위험/갈들/협력 관계에 대한 태도, 프로젝트 형태, 경쟁사 혹은 성장률에 대한 이해를 스스로 잘 해야한다.
– PM은 주변환경에에 대해 피동적으로 움직여서는 안되고, pro-active하게 움직여야 한다.
2) PM은 ▲ 프로젝트 성공, ▲ 지속적인 성과, ▲ 고객/이해당사자 만족에 대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회사는 Portfolio, Program, Project 관리 체계를 구성 및 이에 맞춰 조직 체계를 갖춰야하고, PM에 대한 캐리어패스(career-path)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PM은 ▲ 경영층에서의 지원을 받을 때, ▲ 지속적인 교육/훈련으로 강화되어야지만 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다.
– PM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구성원 모두 교육/학습되어야한다. “If you’re not learning, you’re losing value”
프로젝트 경영 기법의 가치
프로젝트 관리 기법(경영기법)을 통해서는▲ 이익의 증가, ▲ 시장 점유율 증가, ▲ 경쟁 우위 증대 ( 고객 친밀도 향상), ▲ 불필요한 일 감소, 5)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사항이 조직 내부적으로 개선이 되었다고 한다.
1) 의사결정방법 개선
2) 의사소통 및 협업 방식의 개선
3) 효율적인 업무 방식으로 개선
4) 조직내 전략, 실용적인 방향으로 조직체계 변경
5) 조직과 관리 기법에 대한 전반적인 개선
6) 업무 정의서, 조직구조, 경영투명성 개선
기타 연구 결과
높은 성과를 내고 프로젝트 중 80%는 자격을 갖춘 검증된 프로젝트 매니저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젝트 실패 요인의 50%가 잘못된 예측, 범위변경, 자원계획 부족에 기인한다.
혁신적인 조직은 프로그램과 포트폴리오 경영 기법으로 확대하고 있다.
어떻게 보면 일반적인 얘기지만, 통계에 기반한 Fact를 전달해주는 사실의 힘에 대한 공감이 컸다.
우리 중소기업들도 결과에만 연연하지 않는 조직에 맞는 포트폴리오,프로그램,프로젝트 수행 전략과, 프로세스 및 인프라시스템환경하에서 캐리어패스가 갖춰진 환경하에 행복하게 일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PMI의 부회장인 Steve Fahrenkrog에게서 받은 감사장]
와우 대단하십니다!!!
저는 이제서야 PMP 라는 것을 알게되어 준비중입니다.
그런데 번역감수위원님이시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