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IL V3 (IT Infrastructure Library)와 PMBOK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를 비교하고자 한다. 이전의 Prince2와 PMBOK의 비교에서는 프로젝트 추진 방법론에 있어서의 갈래이고 ITIL과 PMBOK은 IT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PMBOK은 프로젝트 관리 시점에서 ITIL은 운영 관리 시점에서 상호 보완 방법론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단계에 대한 요약표이다. 프로젝트 구성은 기획 > 실행 > 통제 > 종료 단계로 가능하고, 운영 관리 구성은 전략 > 설계/추이/운영 > 개선 및 종료로 이뤄진다
IT 시스템 Lifecycle의 구성은 크게 포트폴리오 관리 > 프로젝트 관리 > 서비스 관리로 구성되어 진다. 이렇듯 IT 기준으로 상품/서비스 프로젝트의 프로젝트 관리 및 운영 관리는 상호 보완재라고 볼 수 있다.
1. 출판형태
– PMBOK –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PMI, 현재 3차/2004 버전이 최신 본이며 2008버전 출판 예정
– ITIL V3 – Service Strategy, Service Design, Service Transition, Service Operation, Continual Service Improvement 및 The Official Introduction to the ITIL Service Lifecycle이 출판 됨. IT 서비스 및 프로세스 관점으로 운영 정의, 설계, 개선을 기술 함
2. 강조사항
– PMBOK – 일시적 노력 (temporary endeavor)을 들여 프로젝트를 관리 기술을 기술함.
– ITIL V3 – IT 서비스 분야의 전략, 설계, 개발-시험-납기, 운영 및 꾸준한 개선 분야를 기술 함. 기존 ITIL V2에 비해서 전략부분을 추가하고 개선하였음
3. 개정절차
– PMBOK – PMI 주관 ( 1980, PMI)
– ITIL V3 – OGC 주관 (1980, itSMF)
4. 지향목적
– PMBOK – 프로젝트 관리를 프로페셔날하게 관리하기 위한 모든 분야에 정의, 프로젝트의 완료를 목적으로 함, 일반적인 프로젝트 관리 기술을 언급
– ITIL V3 – IT 서비스관리(Service Management)의 지식 분야를 정의, IT서비스의 계약/설계/납품/운영 및 개선에 포커스를 둠, IT 서비스 전략을 개선시켜 IT의 성숙도를 높이기 위함, ITIL V2의 서비스와 가치에 대한 기술 및 비용에 중점을 두었다면, ITIL V3는 고객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조직적 성숙도를 향상 시키는데 중점을 둠
5. 인증제도
– PMBOK – CAPM (초급매니저), PMI-SP(스케쥴메니저), PMI-RMP(리스크매니저), PMP(프로젝트 매니저), PgMP(프로그램 매니저)로 구성
– ITIL V3 – Fundations, 5가지 개별 전문 인증 (전략, 설계, 납기, 운영, 개선) 방식, Expert로 구성
7. 시험방법
– PMBOK – 교육 이수 및 프로젝트 경험 필수 및 전 분야에 대해 인증 시험을 통과해야 함.
– ITIL V3 – 교육/경험이 필수가 아님, 전 분야에 대해 시험을 봐야 함.
8. 도덕성
– PMBOK – 도덕성 언급 있음.
– ITIL V3 – 도덕성 언급 없음.
9. 지식분야
– PMBOK – 전 산업 분야
– ITIL V3 – IT만 해당
10. BOK : Body Of Knowledge 요약
– PMBOK
– ITIL V3
자격증을 취득하면 좋겠지만, IT 산업 종사자라면 이 두가지 지식 영역은 필수이니까, 틈날때 한번 훑어 보세요.
참고 :
#01 – Prince2와 PMBOK의 비교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