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10월에 SK Telecom의 3G(CDMA 1x) 상용화를 시작으로, 2006년 12월 현재 4억3천만명의 유저가 CDMA 1x 이상을 쓰고 있으며, 2011년에는 3G 사용자가 2G 사용자보다 많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는 3G의 보급에 10년이 걸리는 것이며, 전체적으로 1G -> 2G로의 15년 보다 5년이 단축되는 것이다.
아쉽게도 정부주도일 수도 있겠지만 SKT, KTF는 GSM의 Upgrade격인 WCDMA/HSDPA로 3.5G에 서비스를 내년도 전국 converage 목표로 열심이 망구축중에 있고, LGT만이 CDMA 업그레이드 격인 CDMA2000 1x EV-DO rev A를 선택하여 CDMA라는 종주국에서의 명맥을 그나마 유지하고 있다.
CDG (CDMA Developer Group) Roadmap 자료에 CDMA 최동 기술이 UMB(Ultra Mobile Broadband, CDMA2000 1xEV-DO Rev C)에 대한 Spec을 내 놓았다.
* Multiple radio and advanced antenna techniques
– Sophisticated control and signaling mechanisms (minimized) combine the best aspects of CDMA, TDM, OFDM, and OFDMA into a single air interface
–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d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
– Improved interference management techniques
* Ultra-high mobile broadband peak data rates
– Up to 280Mbps peak data rate on forward link
– Up to 68Mbps peak data rate on reverse link
* Ultra-low network latency
– An average of 16.8 msec (32-byte, RTT) end-to-end network latency
* Enhanced VoIP capacity and user experience
– Up to 500 simultaneous VoIP users (10 MHz FDD allocations)
* Scalable IP-based flat or hierarchical architecture
– Greater service deployment flexibility, improved performance, and lower cost of ownership
* Flexible spectrum allocations
– Scalable, non-contiguous and dynamic channel (bandwidth) allocations
– Support for bandwidth allocations up to 20 MHz in 1.25 MHz blocks
* Less power consumption
– Improved battery life
2009년 상용화 가능 목표로 내년 4월부터 본격 추진하는 이 프로젝트는 하향 280Mbps/ 상향 68Mbps 및 10MHz에서 500 동시 VoIP 사용자 지원의 기능지원이 목표로 설정하였다. 2011년.. 앞으로 5년 후인데… 우리의 Mobile Lifestyle이 어떻게 바뀔지 기대된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 첫 번째로 댓글을 작성하세요!